여러 언어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환경 툴이다. 무료로 사용 가능하고 버그가 많은 편이지만 널리 쓰이고 있다.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면 여러가지 xml 설정파일이 필요하다. 복잡하고 외우기 어려워서 복사 붙여넣기 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설
04/26~04/30Spring boot 사용해 웹 프로젝트 만들어보기Eureka server에 client 2개 생성serviceA / serviceB 생성했으나 동시에 띄워지지 않음.포트번호 다르게 설정해 해결포트번호 : 한 컴퓨터 내에서 서비스를 구별하는 식별자.
컨트롤러 클래스@controller + @responsebody 컨트롤러 내 모든 메소드에 @responsebody 를 적용하는 역할서비스 클래스 다오 클래스개발자가 직접 제어가 불가능한 외부 라이브러리 등을 Bean으로 만들 때 사용. ArrayList, RestTe
OSI 모형은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서 개발한 것으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7 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했다. 이 모델은 각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구분하기 쉽게 나누었다.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이며 하위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할 수 있다. 상위계층으로는 기능
IP(Internet Protocol) 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IP주소는 IPv4, IPv6 2가지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IP 주소라 하면 IPv4 주소를 말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 규약reques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정보를 전달해 서버의 액션을 요구하는 메시지response :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는 메시지HTTP 헤더
\[TOC]“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즉,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에 의한 상태 전달자원(res
int, boolean과 같은 primitive 타입의 변수들을 저장한다. Integer, Boolean 과 같은 Reference 타입의 변수는 저장하지 못한다. Stack에는 정말 간단한 변수나 Heap을 가리키는 주소값 둘 중 하나만 저장된다.객체를 저장하는 가상
배경서비스의 크기가 점점 커지고 DB에 저장하는 데이터의 규모 또한 대용량화 되면서, 기존에 사용하는 DB 시스템의 용량(storage)의 한계와 성능(performance)의 저하 를 가져오게 되었다.즉, VLDB(Very Large DBMS)와 같이 하나의 DBMS
서비스 내 logs 파일 생성 (logback.xml 설정)filebeat.yml 설정대로 로그파일 읽어와 logstash 서버에 전송(설정파일 전문 : https://gitlab.infobank.net/imessage/solutionDev/task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