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분해 할당이란 쉽게 말해 객체나 배열을 분해하는 것이다.두 번째 요소는 가리키지만 변수에는 대입하지 않겠다는 뜻이다.없는 변수를 할당해도 undefined로 나타날 뿐 에러가 나지 않는다.참고: 구조 분해 할당 - zerocho님
devise 이 링크로 접속하면 rubygem 중 하나인 devise에 대한 설명, 문서 등이 나오게 됩니다. 오른쪽에 있는 GEMFILE: 을 복사합니다.프로젝트의 Gemfile이라는 파일을 열고 bootsnap 밑에 붙여넣기합니다.(저는 한 눈에 코드를 알아보기 위
이번엔 강의를 듣지 않고 게시판 댓글 기능을 구현해보았다. 이 글에서는 배우게 된 점을 적어보려한다. (나중에 내가 다시 확인하기 위해서 ...) 🐣 모델의 관계 (board, comment) 하나의 board는 여러 개의 comments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전에 필요한 작업들을 해주자!1\. rails g controller home (home 컨트롤러를 생성했다. 여기서 모든 액션을 다뤄줄 것이다.)2\. rails g model board (board 모델을 생성했다.)3\. db/migrate 안에 파일에 들어가서
get, post 방식을 이용해 정말 간단한 계산기를 짜보며 동작 과정을 이해해 보았다! 🔋 controller 만들기 컨트롤러는 이렇게 만들면 된다. 맨 마지막은 controller 이름이 들어간다. 컨트롤러 이름은 보통 복수형으로 한다. 이름 뒤에 index
MVC는 총 3가지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있다. Model(모델), View(뷰), Controller(컨트롤러) 세 가지이다.Model (모델)Model은 주로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작업을 처리한다. 모델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CRUD와 관련된 일을 한다.Vi
앞으로 간단히 next.js를 실습하면서 배운 내용을 정리해보려한다! 🥸 페이지 이동 next.js 에서 페이지 이동은 next/link, next/router 둘 다 가능한 걸로 알고 있다. 이번에는 next/link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한다. 예제 코드를 보면서
Client에서 URL로 Server에게 요청을 보낸다.Server에서는 그 요청을 토대로 정보가 담긴 html 문서를 다시 Client에게 응답해준다.Client에서는 그걸 그린다.이런 과정을 반복하며 웹은 동작한다.점점 Server에서 처리해야할 정보도 많아지고,
현재 졸업 전시 프로젝트로 체온 체크를 하는 웹을 개발 중이다.현재 aws로 배포를 하여 테스트를 하고 있었는데 시간이 맞지 않게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10:55:48로 나와야하는 시간이 1:55:48로 나오고 있었다.찾아보니 AWS EC2 Timezone 설정을
키는 주로 map 함수에서 여러 element를 다룰 때 써야합니다.각 형제 element에 고유성을 주기 위해 key를 사용합니다.또한 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랜더링 최적화를 위해서입니다.예를 들어 부모 노드에 자식노드가 변경되거나 추가, 혹은 삭제 될 때랜더링을 잘
학교 졸업 전시로 react와 node.js로 웹 서비스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학교에서 aws 초대를 해주셔서 먼저 aws Education 사이트로 들어가줍니다.로그인 -> My Classrooms -> Go to classroom -> Aws Console ->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