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Position
css에서 요소들의 위치를 배치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성으로, 배치하는 방식, 기준에 따라 나뉜다.
static : default 값으로 브라우저에서 자동적으로 배치하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relative : static의 위치로부터 top/bottom/left/right 방향으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absolute : 절대적인 값으로 브라우저 내 좌표 값으로 위치를 지정한다.
다음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던 div를 position을 absolute 로 하여 위치를 지정했다. 원점으로부터 부여한 px만큼 위치를 조정한다.
z-index를 이용해 먼저 보여지는 순서를 결정할 수도 있다.z-index와 onclick을 통해 호출되는 closure를 사용한 function이다. dv라는 class를 가진 4개의 div로부터 요소에 대한 포인터를 얻어내 dv[] 배열을 만들고, 배열로부터 closure를 사용해 onclick이 발생하면 해당 div의 z-index 값을 최고값으로 지정돼있는 값보다 1 높은 값으로 바꿔준다.
정규식
문자열에 대해 일종의 규칙을 정해주는 정규식이다. 정규식은 상당히 많은 언어에서 지원하는 방식이다. a에 대해 먼저 보면, a는 [1234][56]이라는 규칙이 부여됐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첫 문자는 1,2,3,4 중에서의 값을 가져야하고, 두번째 문자는 5,6 중에서의 값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다. 15는 true, 19는 false 45는 true가 출력될 것이다.
b에 대해서 보면 [a-z]는 첫 문자가 a-z 사이의 영소문자 여야 한다. [0-9]{3}은 0-9사이의 수 3개가 입력돼야 한다는 뜻이다. x0346은 true, x138은 false , x1340은 true가 출력될 것이다.
java에서의 정규식 활용이다. ptn이라는 String에 정규식의 Pattern을 입력하고 val은 그에 해당하는 값이 된다.
x[1234]?[56]은 첫 문자는 x, 다음으로는 1,2,3,4 중의 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는 [1234]를 반드시 1개 이상 입력해야한다.
XML
SGML로부터 이어진 파일 형식으로 html과 거의 유사하며, 시작 태그 , 끝 태그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고 이를 합쳐 요소라고 한다. 속성을 시작 태그에 명시해야한다.
위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html과 아주 유사한 형태인데, 이진트리와도 같다.DOM(Document Object Model)이라고 하며 javascript의 document 역시 DOM이며, html을 Tree 구조로 만든 것이 document다.
원금과 연차, 이자율을 입력하고 복리식으로 최종액수를 출력하는 코드를
위와 같은 xml 문서로부터 출력했다. 이진트리에서 data를 저장하는 방식처럼 child와 sibling으로 이어져있는 data를 해당 관계를 이용해서 찾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