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tter] Flutter 개발 환경 구축하기(macOS) Part 3.

안정우·2024년 2월 26일
0

Flutter

목록 보기
6/6

개발 환경 구축 Part 3.

저번 포스팅에서 우리는 Homebrew를 설치하였고, 이를 사용해 Xcode, Ruby, Cocoapods를 설치하여 Flutter의 모든 이슈를 해결하였다.

이제 개발 환경 구축 Part 3를 마지막으로, FVM(Flutter Version Management)와 AVD(Android Virtual Device)를 설치해보자.




🔩 FVM(Flutter Version Management)

※ 이미지를 클릭하면 FVM 공식 홈페이지로 들어갈 수 있다.

FVM(Flutter Version Management) 는 간략하게 설명하면 Flutter의 버전을 쉽게 갈아끼울 수 있는 서드파티 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Node.js에 NVM이 있다고 하는데, NVM의 Flutter 버전이 FVM이라고 생각하면 쉽다고 한다.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싶다면, 위 이미지를 클릭하여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하자.



FVM 설치

FVM 공식 홈페이지를 들어가자.

그런 뒤 상단의 Documentation 탭 -> 왼쪽의 Installation 탭을 들어가면

운영체제 별로 설치법이 나온다. macOS는 Homebrew를 통해 설치한다.

터미널을 실행한 뒤

brew tap leoafarias/fvm 를 입력한다.

조금 기다리면, 이렇게 FVM 저장소가 등록이 된다. 그런 뒤,

brew install fvm 를 입력하면

설치하는데 시간이 조금 걸리고, 이렇게 설치가 되었다.

이제 fvm 이라고 입력하면

FVM에 대한 도구가 쭉 나온다.

fvm list 라고 입력해보면,

FVM을 통해 설치한 Flutter 버전이 아직 따로 없기 때문에 찾지 못하였다고 나온다.

fvm releases 를 입력해보면,

현재 Flutter의 릴리즈 된 버전이 쭉 나온다. beta 버전은 현재는 뜨지는 않았지만, stable 보다 버전은 조금 더 높고 대신 베타이기 때문에 안정화가 조금 덜 되었다고 보면 된다.

24/02/26 기준으로 24/02/21 에 나온 3.19.1 안정화 버전이 제일 최신이지만..!
강의 내용에서는 3.10.5 버전으로 깔기 때문에, 3.10.5 버전으로 깔아주었다.

나중에 최신 버전이 필요하다면 FVM을 통해 또 설치하면 될 것 같아, 일단 구버전으로 깔아도 크게 상관 없을 듯 하다.

최신 버전으로 깔고 싶다면 깔아주면 된다.


터미널에 fvm install 3.10.5 를 입력해주면

조금 기다리면 이렇게 설치가 된다.

강의에서는 Dart도 같이 깔리던데, 나는 그런 메시지는 뜨지 않았다.

혹여 만약 global로 사용하고 싶다면,

fvm global 3.10.5 를 입력해주면 된다.

이제 fvm list 를 입력하면

이렇게 3.10.5 버전이 뜬다.
그런데 Need setup 이라는 문구가 떠있다.

나는 방금 설치를 잘 끝낸 것 같은데 뭐지? 싶어서 구글링을 해보았는데 만족할 검색 결과가 안 나왔다. 강의에서도 저렇게 나오진 않아서, 일단은 찝찝하지만 어쩔 수 없이 넘어갔다.


ls

cd StudioProjects

ls

cd test_flutter_project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생성했던 프로젝트 이름)

pwd

를 입력해주면

이렇게 우리가 만들었던 프로젝트 폴더로 오게된다.

이제 fvm use 3.10.5 를 입력하게 되면

응?

아까 깔리지 않았던 3.10.5 버전이 지금 깔리기 시작한다.

처음엔 찝찝했던 것이 잘 넘어가는 듯 하여 기분이 좋았는데

??? 번역해보니

내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만들었던 Flutter 프로젝트 기준으로, Flutter SDK 3.10.5에 포함 된 Dart SDK 3.0.5는 조건에 충족하지 않는다고 한다.

처음엔 말이 헷갈려서 몇 번 다시 읽어봤는데, Dart SDK의 버전이 최소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 발생하는 메시지같다. y를 누르고 넘길 까 했으나, 분명 이대로 넘기면 더 복잡해질 테고..

그리고 근본적으로 생각을 해 보니, 이 문제는 맥북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거기에 깔린 Flutter 플러그인은 최신 버전인데, 내가 FVM을 통하여 따로 설치한 Flutter SDK는 구버전을 깔았기에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듯 하여 일단은 3.10.5 버전을 쓰지 않고 최신 버전으로 설치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일단 n을 눌러, 더 이상은 진행하지 않았다.

fvm list 를 다시 입력해보니,

원래 있던 Need setup 문구 자리에 3.10.5가 들어가 있다.

fvm install 3.19.1 을 입력해줬고, 똑같이 Need setup 문구가 떴다.

최신 버전으로 바꾸기 위해 fvm use 3.19.1 을 입력해주었다.

Dart SDK 버전이 3.3.0으로 올라가서 3.2.6 이상이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시켜 이슈 없이 버전 적용이 성공하였다.

이런 식으로 프로젝트 별로 원하는 Flutter 버전을 적용시킬 수 있다.




📱 AVD(Android Virtual Device)

AVD는 내가 만든 애플리케이션을 실제 폰과 비슷한 환경에서 돌려볼 수 있는 에뮬레이터이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내가 원하는 앱을 만든 뒤, AVD를 통해 테스트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안에 있어, 프로그램 자체를 추가로 설치해야 할 필요는 없다.

Tools -> Device Manager 을 누르고

+ 를 클릭,

여러가지 화면 크기들이 있지만, 강의에서 Pixel 4가 가장 무난하다고 하기에 선택해 주었다.

개발자들은 API Level을 주로 보게 된다고 한다. 강의 기준 33을 선택했기에 나도 택했다.

※ 개발자들은 최소 API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아래 안드로이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Google Play의 타겟 API 수준 요구사항 충족하기

  • 2023년 8월 31일부터 Android 13(API 수준 33) 이상을 타겟팅 해야한다고 돼있다(24/02/28 기준).
  • 최신 SDK를 타겟팅해야하는 이유도 적혀있다.

사진은 33, 34을 깐 뒤에 찍은 것인데 원래는 오른쪽에 다운로드 버튼이 있을 것이다.

다운로드 용량이 작지 않아, 네트워크 환경이 불안정 하다면 설치가 제대로 안될 수 있어 좋은 환경에서 다운 받기를 추천한다.

여러 옵션들이 있다. 생소하기도 하고 처음이라, 일단 건드리지 않고 기본 값으로 생성해 주었다.

생성된 기기의 재생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Virtual Device 가 실행 된다.

Window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작은 창으로 딸려나와 좀 더 보기 편하다.




참고한 곳



다음 포스팅 예정

  • Dart 활용하여 가위바위보 만들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