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kotlin 2022.06.29 kotlin을 배워보기로 했다. 코틀린 언어는 안드로이드 코드 작성시 재사용률이 높아 점점 자바를 뛰어넘는 추세라고 한다. 일단, kotlin에 대해 걸러낼 불순분자도 없기때문에 기본적인 것을 intelli J 를 통해 코드부터 익
이번에는 정적 배열과 동적 배열에 대해서 써보려고 한다. 배열은 활용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잘 이해하고 넘어가면 좋은 파트로 분류되고 있다. 정적 배열은 미리 사이즈를 지정할 수 있는 상황에 사용하면 유리하다. ex) 과일 종류 중 3개만 사용한다고 할 때. "정적 =
이번에는 Kotlin의 Map 컬렉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컬렉션은 쉽게 말하면 배열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편할 것 같다.프로그래밍을 하면서 변수 이후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개념으로 잘 알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다.Map( 컬렉션 ) - key, value 값을 사용
이번에는 조건문 : if, when 과 반복문 : for, while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고 넘어가보려고 한다. 먼저, if문과 when문은 분기점을 지정해서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if와 else로 구성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연산자는 and연산자
이번에는 Nullable과 Non-null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Nullable : null을 허용한다.라고 이해하는 것이 가장 쉽고, Non-null : null을 허용하지 않는다.라고 이해하는 것이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에는 Kotlin의 클래스와 상속에 대해서 알아보자.먼저, 클래스는 설계도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편할 것이다.그 클래스 안에는 생성자와 초기화 블럭이 있을 것이고, 함수 (메소드) 가 있을 것이고, 속성 (프로퍼티) 가 있을 것이다.그 중에서 이번에는 속성 (프로퍼티
클래스와 상속에 이어서 이번에는 메소드에 대해서 배워 볼 것이다.자바를 공부해 본 적이 있다면, 함수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라 생각한다.함수 == 메소드로 우리는 간단하게 이해할것이다.우리는 함수 안에 동작이나 행동들을 정의해줄 수 있다. 또한, 메소드는 멤버라고도 부
시작하기에 앞서 먼저 Class 파일 하나와 Main 함수가 실행될 File 하나로 두 개의 파일로 생성자와 getter & setter를 학습해보려고 한다.먼저 첫 그림의 코드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 보면, 우리는 constructor()을 통해 임의로 생성자를 만들
이번에는 kotlin과 함께 안드로이드 생명주기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Activity는 안드로이드 4대 컴포넌트 중 하나로 UI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많은 앱은 하나 이상의 액티비티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된다.안드로이드에서는 사용자와 앱 사이의 어떠한 이벤트의
Kotiln으로 개발하기 전에 앞서 Layout에 대해서 지식을 배우고 넘어가려고 한다.우리는 LinearLayout, RelativeLayout, ConstraintLayout, FrmaeLayout으로 4가지의 Layout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LinearLayo
RelativeLayout은 상대적 배치 레이아웃임.layout_alignRight : id 기준 오른쪽에 맞추는 배치.layout_toRightOf : id 기준 오른쪽 끝에 배치.layout_centerInParent : 뷰의 정중앙에 배치.layout_above
FrameLayout은 화면을 교체하고자할 때 자주 사용하는 레이아웃이다.결과적으로 레이아웃을 작성할 때, 겹치게 구성할 수 있고, 그것을 화면에 교체하면서 보여주기 할 수 있다.위 그림과 같이 겹쳐지는 뷰를 구성할 때 편하고, 겹쳐지는 기준은 위 코드에서 아래코드로
안드로이드 버전 3.5 까지는 findViewById를 사용했었다.3.5이하 버전에서는 Butter knife 라이브러리나 extension을 이용하여 findViewById의 불편함을 해결했다고 한다.3.6버전에 들어서면서 ViewBinding 기술이 도입되게 되었다
Manifest에서 시작화면 설정을 담당하는 intent-filter를 설정해야한다. 위치는 생성한 액티비티 안에서 하면 된다.그러면 exported라는게 생기는데 쉽게 타 앱에서 접근 가능한지를 나타낸다.제목은 activity_splash.xml에서 TextView로
시작화면은 브랜드를 보여주기 위함과 사용자 입장에서 보이지 않는 것들을 로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하지만, 우리는 복잡하게 백그라운드 네트워크를 돌린다던지 등의 액션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보여주기 식으로 딜레이를 걸어줄 용도로 DelayHandler를 사용할 것이다.Han

RecyclerView는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할 때, 개발자가 뷰의 모양을 정의하고 대량의 데이터 목록을 화면에 출력해 동적으로 표현한다.RecyclerView는 ListView와는 다르게 재사용성이 높은 위젯이다.RecyclerView를 구현하기 위해 사용한 클래스는
안드로이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본 작업을 트리거하는 원형 버튼인 플로팅액션버튼을 추가해 줄 것이다.xml에 아래의 코드를 추가해주면 된다.위 코드는 아이콘이 살짝 떠보이게해서 입체감을 준다.위 코드는 1줄로 제한하기 위한 코드이다. -> 엔터를 눌러도 두번째 줄로
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앱 모듈에 의존성( dependencies )을 추가해줘야 한다.추가로 plugins에도 하나 추가해줘야한다.위와 같이 작성해주면 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모델 클래스인 ListInfo를 어노테이션을 붙여서 수정하고 @P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