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순분자 Kotlin [2] - 배열

불순분자들·2022년 6월 29일
0

List App 만들기

목록 보기
2/18

이번에는 정적 배열과 동적 배열에 대해서 써보려고 한다.
배열은 활용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잘 이해하고 넘어가면 좋은 파트로 분류되고 있다.
정적 배열은 미리 사이즈를 지정할 수 있는 상황에 사용하면 유리하다. ex) 과일 종류 중 3개만 사용한다고 할 때.
"정적 = 멈춰있다" 라는 뜻으로 생각하는게 좋다. 미리 사이즈를 지정했다는 것에 정적이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동적 배열은 배열을 예측할 수 없는 경우 / 수정될지 모르는 경우 / 삭제될지 모르는 경우에 사용하면 효율적이다.
arrayListOf<>() 안에서 <>안에는 데이터의 타입이 들어간다.
정적배열에서 인덱스 값을 추가하는 방법은 .add()를 사용하면 된다.

물론, 정적배열의 size도 알 수 있다.

데이터의 인덱스를 삭제하는 방법인 .removeAt()이다.
특정 인덱스를 삭제하는 방법인데 만약, 모든 인덱스를 삭제하고싶다면 .removeAll()을 사용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정적배열에서는 데이터를 수정할수도 있는데, 수정 방법은 .set()을 사용한다.
set( index, 변경할 내용 ) 을 넣어서 사용하면 된다.

profile
장래희망 : 침대 위 녹아든 치즈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