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신학전공자의 개발자 도전기!!
post-thumbnail

WIL 03, 항해 2주차 이야기

항해99 2주자 이야기 01 항해99의 자기주도적 학습 1) 할말이 많은 자기주도학습 항해99를 소개하는 스파르타코딩클럽의 학습안내는 "자기주도적 학습"이라는 부분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이 자기주도적 학습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 항해를 시작하기 전까지는 그 내막을 알지 못했다. 항해는 나날이 변화 중... 현재 13기를 나아가며 항해는 고정된 학습일정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 이번 13기가 약간 심하였다. 월~토 주 100시간을 학습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했지만, 출석도 퇴근도 사실 항해 측은 관심이 없다. 열심히 하는 사람이 많이 얻어가는 시스템

2023년 2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오늘의 코팅 테스트 한 줄(복습) :

구글링을 한 것이 너의 실력은 아니야, 다시하면 안보고 풀 수 있니? 시리즈 프로그래머스,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해당문제는 가볍게 풀었다. 그러나 리펙토링으로 더 간단하게 만들 수 있을까? x, x+x, x+x+x 와 같은 방법을 n번 만큼 배열에 넣어주고 싶은 구분이다. 나의 고민은 answer.push()안에 반복문을 통해서 무언가를 기록할 수 있을까? 재귀함수에 대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도전해보았다. 동작은 하는 것 같다. ![](https://velog.velcdn.com/images/edwinstory/post/58ca04

2023년 2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오늘의 코팅 테스트 한 줄 : 복습 (재귀함수)

구글링을 한 것이 너의 실력은 아니야, 다시하면 안보고 풀 수 있니? 시리즈 프로그래머스, 행렬의 덧셈 이전의 풀이에서는 map을 두번 사용해서 풀이를 했다. 그런데 한번에 풀 수 있을까? 도전을 해보고자 했지만 실패했다. 그래서 매니저님의 도움을 기반으로 재귀함수라는 영역에 들어섰다. 재귀함수란? 소크라톤의 개발 블로그 소크라톤을 기반으로 위의 문제에 다시 접근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위의 문제를 풀이한 풀 코드를 아래에 기록한다. 입출력의 예 map() 메서드에 의해서 arr1

2023년 2월 1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