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이 프로젝트] WebSocket, STOMP, Redis

실시간 채팅 서비스를 구현하면서 이렇게 많은 기술이 있는지 처음알았다. 원래는 Zookeeper와 Kafka를 사용하려 했지만 1대1 대화만 사용하면, kafka를 사용하는것보다는 Redis만 사용하는게 가장 편리하고 좋다! 라는 이야기를 어디선가 본적이있어 Redis로 기술을 바꾸게 되었다! WebSocket부터 천천히 학습하면서, STOMP의 Pub / Sub 구조를 살펴봤고, 이제 Redis의 Pub / Sub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부하다보니 드는 의문점! 바로바로바로 전체적으로 WebSocket과 STOMP와 Redis는 정확히 뭐고 어디서 어떻게 쓰이고 Pub / Sub 는 무엇일까? 라는 좀 많은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다. 🧑 WebScoket 이란? 보통 동적 웹 사이트에서 API통신은 단방향 통신만 가능하다. API 통신을 통해 값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하지만 WebSocket을 사용하게되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

2023년 9월 9일
·
2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