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과 컴퓨터 과학, 언어학 또는 엮인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풀어맺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계산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적 절차를 의미한다.
선형으로 나열되어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스캔하면서 원하는 값을 찾는다.
마지막 인덱스에 찾으려는 값을 추가해서 찾는 과정을 간략화 한다.
인덱스 0부터 9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내가 찾고자 하는 데이터가 9라고 가정했을 때,
➡️ 검색 성공 : 마지막 이전에 '9'가 검색된 경우
➡️ 검색 실패 : 마지막에 '9'가 검색된 경우
마지막에 찾고자 하는 데이터가 나왔다면, 그것은 내가 임의로 추가한 데이터로써 찾은 것 이고 순차적으로 찾는 과정이 마지막 데이터까지 이뤄졌기 때문에 찾은게 아니다.
Quiz : 리스트에서 가장 앞에 있는 숫자 '7'을 검색하고 위치(인덱스)를 출력하자.
Quiz : 리스트에서 숫자 '7'을 모두 검색하고 각각의 위치(인덱스)와 검색 개수를 출력하자.
🧷 함수화
정렬되어 있는 자료 구조에서 중앙값의 크고 작음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검색한다.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 '7'을 검색 하고 위치(인덱스)를 출력하자.
수의 크고 작음을 이용해서 수의 순서를 정하는 것을 순위 라고 한다.
자료 출처 :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