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03. 24 Day17

genie1025·2023년 3월 23일
0

STUDY NOTE(PYTHON)

목록 보기
19/32
post-thumbnail

🔍 알고리즘

수학과 컴퓨터 과학, 언어학 또는 엮인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풀어맺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으로 계산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적 절차를 의미한다.

  • 문제 풀이에 필요한 계산 절차 또는 처리 과정의 순서를 뜻한다.
  • 프로그램 명령어의 집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 선형 검색

선형으로 나열되어 있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스캔하면서 원하는 값을 찾는다.

  • 인덱스 0부터 9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 검색 성공 또는 실패

🧷 보초법

마지막 인덱스에 찾으려는 값을 추가해서 찾는 과정간략화 한다.

  • 인덱스 0부터 9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한다.

  • 내가 찾고자 하는 데이터가 9라고 가정했을 때,

➡️ 검색 성공 : 마지막 이전에 '9'가 검색된 경우

➡️ 검색 실패 : 마지막에 '9'가 검색된 경우
마지막에 찾고자 하는 데이터가 나왔다면, 그것은 내가 임의로 추가한 데이터로써 찾은 것 이고 순차적으로 찾는 과정이 마지막 데이터까지 이뤄졌기 때문에 찾은게 아니다.

Quiz : 리스트에서 가장 앞에 있는 숫자 '7'을 검색하고 위치(인덱스)를 출력하자.

Quiz : 리스트에서 숫자 '7'을 모두 검색하고 각각의 위치(인덱스)와 검색 개수를 출력하자.

🧷 함수화


📌 이진 검색

정렬되어 있는 자료 구조에서 중앙값의 크고 작음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검색한다.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 '7'을 검색 하고 위치(인덱스)를 출력하자.


📌 순위

수의 크고 작음을 이용해서 수의 순서를 정하는 것을 순위 라고 한다.


자료 출처 : 제로베이스 데이터 취업 스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