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과 인가

DONGHYUN KOO·2020년 9월 7일
0

인증 & 인가

인증과 인가는 API에서 가장 자주 구현되는 기능중 하나입니다.
Private한 API는 물론이고 Public한 API도 기본적인 인증과 인가를 요구한다

인증

인증은 유저의 identification을 확인하는 절차다.
쉽게 설명하면, 유저의 아이디와 비번을 확인하는 절차.
인증을 하기 위해서 먼저 유저의 아이디와 비번을 생성할수 있는 기능도 필요하다.

로그인 절차

  1. 유저 아이디와 비번 생성
  2. 유저 비번 암호화 해서 DB에 저장
  3. 유저 로그인 ->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
  4. 유저가 입력한 비밀번호 암호화 한후 암호화디서 DB에 저장된 유저와 비밀번호 비교
  5. 일치하면 로그인 전송
  6. 로그인 성공하면 access token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유저 비밀번호 암호화

  • 유저의 비밀번호는 절대 비밀번호 그대로 DB에 저장 하지 않는다.
    -DB가 해킹을 당하면 유저의 비밀번호도 그대로 노출된다.
    -외부 해킹이 아니더라도 내부 개발자나 인력이 유저들의 비밀번호를 볼 수 있다.
  • 유저의 비밀번호는 꼭 암호화 해서 저장 해야 한다.
    • DB가 해킹을 당해도 비밀번호가 그대로 노출되지 않으며
      내부 인력도 비밀번호를 알 수가 없음
  • 비밀번호 암호에는 단방향 해쉬 함수가 일반적으로 사용
    • 단방향 해시함수는 원본 메시지를 변환하여 암호화된 메시지인
      다이제스트를 생성합니다. 원본 메시지를 알면 암호화된 메시지를
      구하기 쉽지만 암호화된 메시지로 원본 메시지를 구할수 없어서 단
      방향성 이라고 합니다

Bcrypt

단방향 해쉬 함수도 몇가지 취약점이 있다.
해시 함수는 본래 처리 속도가 최대한 빠르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속성 때문에
공격자는 매우 빠른 속도로 임의의 문자열의 다이제스트와 해킹할 대상의 다이제스트를
비교할 수 있다.

    • 단방향 해쉬 함수의 취약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2가지 보완점들이 사용된다.
      • Salting
        • 실제 비밀번호 이외에 추가적으로 랜덤 데이터를 더해서 해시값을 계산하는 방법.
      • Key Stretching
        • 단방향 해쉬값을 계산 한 후 그 해쉬값을 또 또 해쉬 하고, 또 이를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JWT(JSON Web Tokens)

  • 앞서 언급했듯이 유저가 로그인에 성공한 후에는 access token이라고 하는 암호화된 유저 정보를 첨부해서 request를 보내게 된다

  • 유저로그인:

    POST /auth HTTP/1.1
    Host: localhost:5000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username": "joe",
        "password": "pass"
    }
  • access token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access_token": "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pZGVudGl0eSI6MSwiaWF0IjoxNDQ0OTE3NjQwLCJuYmYiOjE0NDQ5MTc2NDAsImV4cCI6MTQ0NDkxNzk0MH0.KPmI6WSjRjlpzecPvs3q_T3cJQvAgJvaQAPtk1abC_E"
    }
- 그러면 서버에서는 access token을 복호화 해서 해당 유저 정보를 얻게 된다.
 
 - 예를들어 access token eyJhbGciOiJIUzI1NiIsInR5cCI6IkpXVCJ9.eyJpZGVudGl0eSI6MSwiaWF0IjoxNDQ0OTE3NjQwLCJuYmYiOjE0NDQ5MTc2NDAsImV4cCI6MTQ0NDkxNzk0MH0.KPmI6WSjRjlpzecPvs3q_T3cJQvAgJvaQAPtk1abC_E 를 복호화 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는다:


{
    user_id = 1 
}

복호화해서 얻은 유저 아이디를 통해 해당 유저가 누군지 알수 있다
이런 절차의 목적은 해당유저가 매번 로그인 하지 않도록 하는것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