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P 라우팅(routing) 동작 과정 1.1. 라우터의 개념 라우터는 전용회선을 통해 LAN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로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접속하고 이들 간 데이터를 주고 받게하는 중계 기능도 한다. 대부분의 라우터는 IP 라우팅 기능뿐 아니라 LAN용 프로토콜인 IPX, AppleTalk등의 브리징 기능도 함께한다. img 즉, 라우터는 IP네트워크, 서브넷을 관리하면서 다른 네트워크를 거쳐 패킷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장비이고, 라우팅은 그 패킷을 보낼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1.2. 라우터의 동작원리 라우터는 패킷의 전송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랜테이블, 네트워크테이블, 라우팅테이블을
1. DHCP 프로토콜 >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로서 해당 호스트에게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게이트웨이 IP주소, DNS서버 IP주소 를 자동으로 일정 시간 할당해주는 인터넷 프로토콜 DHCP를 통한 IP 주소 할당은 임대(Lease)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DHCP 서버가 IP 주소를 영구적으로 단말에 할당하는 것이 아니고 임대기간(IP Lease Time)을 명시하여 그 기간 동안만 단말이 IP 주소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말은 임대기간 이후에도 계속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IP 주소 임대기간 갱신(IP Address Renewal)을 DHCP 서버에 요청해야 하고 또한 단말은 임대 받은 IP 주소가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되면 IP 주소 반납 절차(IP Address Release)를 수행하게 된다. 즉, [유동 IP](https:
1.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는 데이터 통신에서 상위 계층이 전달한 데이터에 붙이는 제어정보를 뜻한다. 모든 계층에서, 우리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라고 부를까? PDU를 알고난 후 부터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물론 데이터 자체는 동일하지만 각 레이어를 거치면서 헤더 정보가 추가되면서 이름이 달라진다. File:OSI Model v1.svg - Wikimedia Commons > 쉽게 생각하면 - > > 사용자는 Data 라고 부르고, > > TCP는 Segment 라고 부르고, > > IP는 Packet 이라고 부르고, > > 데이터링크는 Frame, > > 컴퓨터 하드웨어는 그것
1. 전송계층 이전 글에서 TCP/IP 모델에 대해 공부했다. TCP와 UDP는 TCP/IP의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전송계층은 IP에 의해 전달되는 패킷의 오류를 검사하고 재전송 요구 등의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이다. 2. TCP vs UDP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이고, UDP는 User Datagram Protocol의 약자이다. 두 프로토콜은 모두 패킷을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전달해주는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1. 데이터의 기술적 개념 우선 데이터의 기술적 개념부터 생각해보자. 우리가 흔히 말하는, 컴퓨터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는 모든 데이터는 컴퓨터 밖 세상의 것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책처럼 읽을 수 있는 인터넷 신문기사의 글자들, 눈으로 본 것과 똑같이 찍혀 sns에 업로드 된 사진들... 이런 것들을 우리는 데이터라고 부른다.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여온 개념이어서일까? 우리는 그것이 사실은 수많은 0과 1로 이루어진 숫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쉽게 잊는다. 그래서 데이터가 어떻게 전달되는가? 를 생각해보자니 너무 막연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다. 데이터는 0혹은 1로 이루어진 숫자이고, 컴퓨터는 이진법의 숫자를 전기의 켜짐과 꺼짐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데이터는 아주 긴 전기 신호 인 것이다. 이렇게 이해하니 막연했던 데이터 전달 과정을 조금을 상상할 수 있을 것 같다. 아주 긴 케이블이 필요하겠구나. 그런데 케이블만 있으면 정말
1. 공인 IP (Public IP)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 주소이다. 공용 IP 주소라고도 불리며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 주소이다. 공인 IP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IP 주소를 갖는다. 공인 IP 주소가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에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PC로부터의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화벽 등의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2. 사설 IP (Private IP) 일반 가정이나 회사 내 등에 할당된 네트워크의 IP 주소이며, 로컬 IP, 가상 IP라고도 한다. IPv4의 주소부족으로 인해 서브넷팅된 IP이기 때문에 라우터에 의해 로컬 네트워크상의 PC 나 장치에 할당된다. 2.1. 사설IP 주소대역 사설IP 주소는 다음 3가지 주소대역으로 고정된다. Class A : 10.0.0.0 ~ 10.25
1. 넷마스크(Netmask) 네트워크 주소 부분의 비트를 1로 치환한 것이 넷마스크이다. IP 주소와 넷마스크를 AND연산을 하면 네트워크 주소를 얻을수 있다. netmask 2.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2.1 서브넷마스크의 형태 서브넷 마스크의 형태는 IP주소와 똑같이 32bit의 2진수로 되어 있으며, 8bit(1byte)마다 .(dot)으로 구분하고 있다. 즉, IP와 똑같은 OOO.OOO.OOO.OOO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형태가 똑같다고 하여서 역할을 혼동하면 안 된다. 형태가 똑같은 이유는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AND 연산하기 위해서이다. 2.2 기본 서브넷 마스크(Default Subnet Mask) 서
0. What is Network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한 상태. 일방적으로 규모에 따른 네트워크 종류는 아래와 같다. PAN ( Personal Area Network ) :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LAN ( Local Area Network ) :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 망을 의미하며 지역적 좁은 범위 내에서 고속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 Man ( Metropolitan Area Network ) :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Wan ( Wide Area Network ) : 광대역 네트워크 Wild Area Network 로써 광대역 통신망으로써 LAN 보다 넓은 지역을 나타내며 지역과 지역, 지방과 지방, 나라와 나라 또는 대륙과 대륙을 연결하는 통신망. ![img](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6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