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20200717225734228 예발자 깃헙에 Dependabot 이란 친구가 요런 풀리퀘를 올려줬다. 뭔가 했더니 저장소의 패키지 및 애플리케이션의 최신 릴리즈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업데이트 시켜주는 깃허브 봇이라고 한다. Dependabot은 오래된 dependencies을 식별하면 풀리퀘를 보낸다. 변경된 릴리즈 정보를 검토한 후에 merge 해주면 된다. node-module에 포함되어있는 lodash 4.17.19 버전이 릴리즈 되면서 디펜다봇이 자동으로 업데이트 해준듯. lodash는 자바스크립트 유틸리티 라이브러리라고 한다. 디펜다봇덕에 알게 됐다.
yebalja.com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5명의 팀원들과 협업을 경험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생겼다. 제대로 된 협업 프로젝트를 경험해보자는데에 의견이 모였고, 그러기 위해 깃허브를 이용한 헙업 플로우를 공부하고 정리할 필요성을 느꼈다. 우리의 작은 목표는 이렇다. Issue, Pull requests, Kanban borad 모두 이용해 프로젝트 관리하기. Wiki에 개발일지 기록하기. 개발 타임라인 작성하기. 모든 커밋 및 문서는 영어로 작성하기. 당연히 모두 깃허브를 이용한다. Github 하나만으로도 이슈 관리, 일정 관리, 코드 리뷰, 리포트 작성 등 부족함 없이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다.
깃헙 잔디 관리 팁 깃헙 비공개 저장소에서 작업한 내역을 깃헙 잔디에 반영하고 싶다면 컨트리뷰션Contribution 설정에서 비공개 컨트리뷰션Private contributions를 선택한다. 이렇게 하면 비공개 저장소에서 작업한 내역이 공개된 잔디에 반영되고, 권한이 없는 사람에게는 컨트리뷰션 활동Contribution activity의 상세 내용이 숨겨진 채로 표시된다. https://static.hubtee.com/files/a96/a9604d504ec912750129015f7d0cdc8ed36d89e596394dd73fcfd4ccb18f8f23.m.png 참고 : [깃헙(GitHub) 새로운 가격 정책 및 엔터프라이즈 플랜 발표 - 무료 플랜도 비공개 저장소를
42서울에서 과제 업로드 용으로 사용하는 Gittea와 내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Github 를 연동했다. 과정을 정리해보면, 1. 먼저 로컬에 깃허브 저장소를 연결한다. $ git remote add origin 2. 깃티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Libft 저장소를 gittea라는 별명으로 명시하고 연결한다. $ git remote add gittea 3. 원격 저장소 목록 확인 $ git remote -v gittea http://13.125.198.2:3000/daelee/Libft.git (fetch) gittea http://13.125.198.2:3000/daelee/L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