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리눅스 | 아마존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하기

HYUN·2021년 3월 5일
0
post-thumbnail

리눅스 서버를 설치/사용하는 방법

  •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
    • 추천하지 않는 방법. - PC 환경에 따라 다양한 문제들이 생길 수 있음.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활용
    • 최신 기술에 익숙해진다는 장점
    • 단, 설정에 따라 진행 필요

클라우드 컴퓨팅

과거 1980년대 전후하여 원격지에 있는 컴퓨터와 근처에 있는 단말기 사이에 있는 수 많은 통신장비 및 네트워크를 다 그리지 않고 구름 모양을 그려서 설명을 하였다. 이후 2000년대에 클라우드 컴퓨팅이 등장하면서 이 개념을 설명하기가 애매하여 이 구름 개념을 따 와서 구름(cloud)이라고 한 것이 클라우드다.

즉, 클라우드의 의미는 컴퓨터 통신망이 복잡한 네트워크 및 서버 구성 등을 알 필요 없이 구름과 같이 내부가 보이지 않고, 일반 사용자는 이 복잡한 내부를 굳이 알 필요도 없이 어디에서나 구름 속의 컴퓨터 자원으로 자기가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동일한 체험을, 인터넷이 연결된 어디에서나 보장해주는 것이다.

2019년 조사에 따르면 800개 기업 중 94%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2021년까지 전체 클라우드 인프라를 사용하는 기업은 절반 이상이 될 전망이다. | 출처: 나무 위키

간단하게 말하자면 서버 환경을 미리 구축해놓고 간단한 설정만으로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서비스입니다. 즉, 서버 환경을 비용을 지불하고 빌린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왜 사용할까?

서버라는 개념을 쉽게 이야기하자면 24시간 돌아가는 컴퓨터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게임에 비유해서 얘기하자면 개발자들이 어떠한 게임을 만들 때 사용자가 얼마나 될지 예측할 수 없죠. 그래서 과거에는 대략적인 예측으로 서버 컴퓨터를 직접 구매하여 서버의 용량을 미리 설정해놨습니다.

만약 운영진들이 1000명의 유저를 예측해서 1000명의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서버를 구축해 놓았지만 600명의 유저만 사용한다면 나머지 400명 분량의 서버를 낭비하게 됩니다. 이는 비용의 낭비와 같으며 반대로 1500명의 유저가 사용을 한다면? 나머지 500명의 유저는 사용할 수 없고 이 또한 기업의 손해로 이어집니다.

그렇다면 유동적으로 서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마찬가지로 운영진들은 대략적인 예측으로 1000명의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서버를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해서 구축합니다. 이때 만약 600명의 사용자만 사용을 한다면 400명 만큼의 서버 사용을 없애면 되고 반대로 1500명의 유저가 사용한다면 500명 만큼의 서버를 더 열면 되는것입니다. 이것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 AWS(Amazon Web Service)

대표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마존에서 프리티어를 사용해서 1년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데 양식에 맞게 회원가입을 하고 결제카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설정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정이 필요합니다.

  • EC2(인스턴스) 서버를 생성
  • Elastic IP (탄력적 IP) 생성
    • 어떠한 컴퓨터든 간에 인터넷 환경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외부에 본인의 IP 주소를 알려줘야 합니다. ex)128.12.10.1 이러한 IP 주소는 동적으로 생성이 되서 사용을 할 때마다 변하는 경우가 있는데 고정적인 IP 주소를 부여하기에는 IP 주소가 부족하기 때문이죠.

      반대로 서버의 IP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해당 서버에 요청을 해야하기 때문에 유동적으로 변하는 주소를 가지고 있으면 안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고정적인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본인 PC(클라이언트)에서 EC2(서버) 접속

정리하자면 서버 컴퓨터를 하나 생성하고 해당 서버에 대한 고정적인 IP 주소를 부여하고 해당 IP 주소에 접속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1. EC2(인스턴스) 서버를 생성

먼저 아래 그림처럼 국가가 맞게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다음은 EC2를 찾아 아래 그림처럼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다음은 어떤 인스턴스를 생성할지 선택해야 하는데 이때 우리는 리눅스가 오픈 소스라는 것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이는 셸이나 컴파일러 같은 운영체제 커널 위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모두 고려해서 선택할 수 있다면 매우 좋겠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그렇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리눅스 베포판을 이용합니다.

리눅스 베포판은 쉽게 패키지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사용자(개발자)에게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미리 패키지로 묶어서 만들어 놓은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많은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프리티어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선택을 하고 나면 위와 같은 그림이 나올텐데 쉽게 서버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선택한다고 보면 됩니다.
보통 프리티어가 디폴트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꼭 무료 버전인 프리티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은 네트워크 설정이며 변경 없이 디폴트 값으로 사용하며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다음은 저장공간의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프리티어의 경우 30GB의 공간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공간의 크기를 30GB로 변경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해당 페이지는 서버 컴퓨터에 태그(이름)을 부여할 수 있는 페이지인데 보통 많은 서버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관리를 위하여 이름을 부여해서 사용하지만 1대의 컴퓨터만 빌리기 때문에 따로 설정 없이 넘어갑니다.

다음은 보안 그룹을 구성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프로토콜SSH하단부 프로토콜TCP 그리고 포트 범위22를 선택하는 페이지입니다. 보통 디폴트 값으로 사용합니다.

다음은 지금까지 선택한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오며 우측 하단에 설치를 클릭하면 일종의 인증서(키 페어)를 입력해서 다운로드 후에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서버가 열리게 됩니다.

profile
자바스크립트를 좋아합니다. | 이유를 알고 있는 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는 분명하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