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설 ‘구글 수수료 논란’ 진짜 문제는 따로 있다.

Kiwoong Park·2022년 3월 21일
0

카카오페이지 등 웹소설 플랫폼 수수료 너무 과도해 ... 작가 수익은 전체 매출의 38.5%에 불과

급성장한 웹소설 시장 지난해 기준 6,000억원 규모

한국창작스토리작가협회가 추산하는 웹소설 작가 지망생은 약 20만명에 달함. 물론 웹소설을 통해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은 또 다른 얘기다. 프로 작가로 데뷔하기 위해서는 매일 최소 5,500자 정도를 꾸준히 써야만 한다. 하루라도 소설을 올리지 않으면 독자들의 관심을 유지하기 어렵다.

“작가보다 플랫폼이 더 많이 가져가”

현재 웹소설 플랫폼들의 평균 수수료 요율은 30% 정도다. 전체 매출의 30%를 플랫폼이 가져감. 가령 웹소설 1편을 판매할 경우 발생한 매출 100원에서 플랫폼사에 30원을 수수료로 제공하고 70원을 정산받게 된다. 여기서 작가와 CP(콘텐츠 프로바이더)는 보통 7대 3으로 수익을 분배한다. 결국 최종적으로 작가에게 떨어지는 수익은 49원 정도다.

문제는 일부 플랫폼들이 일정 조건에 따라 수수료율을 30% 이상 가져가면서 발생. 대표적으로 카카오페이지는 ‘기다리면 무료’ 프로모션을 통해 작가에게 수수료율을 최대 45%까지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전체 매출에서 작가가 가져가는 비율은 38.5%까지 떨어진다. 여기에 향후 구글 수수료 30%가 적용될 경우 작가 수익은 20%대로 급감한다.

그렇다고 작가들이 기다리면 무료 프로모션을 거부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해당 프로모션을 통해 카카오페이지 모바일 앱 메인 화면에 걸리는 배너 여부에 따라 매출 성적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 업계 관계자는 “기다리면 무료와 아닌 작품은 10배 이상 수익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다”며 “기다리면 무료를 거절할 경우 배너 자체를 안 걸어주기에 작가로서는 사실상 거부하기 쉽지 않다”고 밝혔다.
  • 카카오페이지는 기다리면 무료 도입 이후 이용자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매출과 가입자 모두 크게 증가했다. 특히 이용자들이 무료 콘텐츠를 위해 매일 카카오페이지를 방문하게 되면서 고객 충성도 역시 높일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 즉, 플랫폼은 무료 콘텐츠 풀기를 포기할 수 없고, 작가는 플랫폼을 포기할 수 없다. 작가가 양산? 되는 시점에서 작가는 어쩔 수 없는 “을”의 포지션으로 묶이게 되고 수익 배분을 포기하는 활동을 할 수 없을 것이다.
  • 일부 웹소설 작가들은 지난 3월 웹소설 플랫폼들의 과도한 수수료와 관련해 문화체육관광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에 개인적으로 민원을 제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공정위는 이와 관련해 “수수료는 시장에서 결정할 문제로, 정부가 직접 개입하기는 어렵다”는 답변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과도한 수수료 문제... “작가 수익 보전에도 신경 써야”

과거에는 ‘독점’ 작품이 많지 않아, 한 작품만 성공해도 여러 플랫폼을 통해 많은 돈을 벌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독점을 통해 특정 플랫폼에 귀속되는 경우가 많아 예전과 같은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 수수료가 주는 무게감이 달라진 것.

  • 웹소설 작가 진문(필명)은 “카카오페이지 등이 국내 웹소설 시장을 키운 것은 분명 맞다. 하지만 플랫폼이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작가들이 좋은 작품을 선보였기 때문”이라며 “플랫폼들은 최근 몇 년 새 빠르게 몸집을 불렸다. 이제는 작가들의 수익 보전에도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진문 작가는 “작가는 한 작품이 실패하면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1년 가까이 굶게 된다. 반면 플랫폼은 작품 배너를 교체하면 그만”이라며 “작품에 대한 리스크를 작가가 대부분 부담하는 상황에서 지금의 수수료율은 너무 과하다”
  • “지금처럼 작가에게 떨어지는 수익이 적으면, 신규 작가들의 유입이 줄어들고 이는 결국 시장이 축소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창작자가 만든 1차 저작물에 대해서는 플랫폼, 에이전시 수수료를 제하더라도 최종적으로 50% 이상의 수익을 보장받는 ‘창작자 보호법’ 제정이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플랫폼과 창작자 간의 싸움은 사실 플랫폼 사업에서 지속적으로 조율해 나가야할 문제이다.
플랫폼은 창작자 없이 존재할 수 없고, 창작자 역시 플랫폼 없이 존재할 수 없는 것이 현시대의 창작자 들의 고통이다. 특히, 요즘 시대처럼 단체로서 목소리는 내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개인화, 파편화의 시대에서는 플렛폼이 항상 갑에 위치하는 게 어찌보면 안타깝지만 개인으로서 견뎌야 하는 무게가 아닐까?

profile
You matter, never give u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