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비동기 프로그래밍에 관하여

프로미스

  • 싱글스레드인 자바스크립트는 비동기 처리를 위해 콜백을 사용해왔는데, 이 때문에 비동기 처리를 할 수는 있지만 단점이 나타났다.
    • 그 단점으로는 비동기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비동기 처리를 중첩시켜 표현하므로 에러 및 예외 처리가 어렵다는 것과 중첩으로 인한 복잡도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 이 두 가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ES2015에서 프로미스가 도입되었다.
  • 프로미스의 목적은 "비동기에서 성공과 실패를 분리해서 메서드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 프로미스는 단어 뜻 그대로 기능에서 약속의 의미을 내포하며, 비동기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이 종료되면 결과를 알려주겠다약속하는 것과 같다.
  • 프로미스는 비동기 함수로부터 동기적으로 반환되는 객체이며, 다음 세 가지 상태(Fulfilled, Rejected, Pending) 중 하나를 가진다.
    • Settled(한번 settled 상태가 되면, 해당 프로미스의 그 상태는 불변)
      • Fulfilled :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상태(resovle() 호출)
        •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Promise.resolve() 메소드를 통해 결과 값으로 이행하는 Promise 객체를 반환한다.
      • Rejected : 작업 수행 중, 어떠한 요인으로 인해 실패한 상태(reject() 호출)
        • 작업이 실패(에러) 되면 Promise.reject() 메소드를 통해 거부하는 Promise 객체를 반환한다.
    • Pending : 아직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또는 초기 상태(아직 fulfilled 또는 rejected 상태가 아닌 경우)
  • 프로미스 생성 : 프로미스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와 함께 호출하면 프로미스 객체를 생성한다. Promise 생성자 함수는 비동기 처리를 수행할 콜백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데, 이 콜백 함수는 resolve와 reject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 프로미스의 상태는 resolve 또는 reject 함수를 호출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 프로미스가 성공할 때의 값을 얻는 데에 .then() 을 사용하고, 프로미스가 실패할 때의 오류를 처리하는 데에는 .catch() 를 사용한다.
const myPromise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resolve('The value we get from the promise');
  reject(new Error('this is our error'));
});

myPromise
  .then((data) => {
    console.log(data);
  })
  .catch((err) => {
    console.error(err);
  });

//The value we get from the promise
  • 프로미스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와 무관하게 이전 프로미스에서 반환된 것을 후속 프로미스의 기반으로 사용하여 프로미스를 계속 체이닝(연결) 할 수 있다.
  • Promise.resolve()와 Promise.reject()는 자동으로(즉시) 성공하거나 실패하는 프로미스를 생성한다.
    • Promise.resolve()는 즉시 프로미스를 성공 처리하므로, .then()절의 인수 중 첫 번째 함수가 호출된다.
    • Promise.reject()는 즉시 프로미스를 실패 처리하므로, .then()절의 인수 중 두 번째 함수가 호출된다.
Promise.resolve('Hello. I successed').then(
  //Promise.reject("Hello. I successed").then(
  function (value) {
    console.log('wow you successed');
  },
  function (value) {
    console.log('no you failed.');
  }
);
//resolve이면 wow you successed
//reject이면  no you failed.
  • Promise.all()은 모든 프로미스가 성공할 경우에 성공하는 하나의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하나라도 실패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 Promise.race()는 이터러블에 포함된 프로미스들 중 가장 먼저 성공한 결과를 반환한다.

제너레이터

  • 제너레이터는 ES2015에서 도입됐다.
  • 모던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제너레이터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 그러나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면 실행 중에도 제너레이터 호출 코드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 경우가 종종 있다.
    • 그리고 제너레이터를 사용하면 이터러블 객체를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 제너레이터는 코드 블록의 실행을 일시 중지했다가 필요한 시점에 재개할 수 있는 특수한 함수다. 비동기 처리를 동기 처리처럼 동작하도록 구현했다.
    • 함수 호출자에게 함수 실행의 제어권을 양도할 수 있다.
    • 함수 호출자와 함수의 상태를 주고받을 수 있다.
    • 제너레이터 객체를 반환한다.
  • 일반 함수는 하나의 값(혹은 0개의 값)만을 반환한다. 하지만 제너레이터(generator)를 사용하면 여러 개의 값을 필요에 따라 하나씩 반환(yield)할 수 있다.
    • 제너레이터와 이터러블 객체를 함께 사용하면 손쉽게 데이터 스트림을 만들 수 있다.
  • 정의
    • function* 키워드로 선언한다. 하나 이상의 yield 표현식을 포함한다.
      • 이것을 제외하면 일반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과 같다.
    • 에스터리스크(*) 의 위치는 function 키워드와 함수 이름 사이라면 어디든지 상관없다. 하지만 일관성을 위해 function 키워드 바로 뒤에 붙이는 것이 추천된다.
  • 실행
    • 제너레이터 함수를 호출하면 코드가 실행되지 않고, 대신 실행을 처리하는 특별 객체, '제너레이터 객체’가 반환된다.
    • next()는 제너레이터의 주요 메서드이다.
      • next()를 호출하면 가장 가까운 yield <value>문을 만날 때까지 실행이 지속된다(value를 생략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엔 undefined가 된다).
        • 이후, yield <value>문을 만나면 실행이 멈추고 산출하고자 하는 값인 value가 바깥 코드에 반환됩니다.
      • next()는 항상 아래 두 프로퍼티를 가진 객체를 반환한다.
        • value: 산출 값
        • done: 함수 코드 실행이 끝났으면 true, 아니라면 false
function* genFunc() {
  const x = yield 1; //(1)
  const y = yield x + 10; //(2)
  return x + y; //(3)
}

const generator = genFunc(0);
let res = generator.next(); //(1)
console.log(res); // {value: 1, done: false}    처음 호출은 next메서드에 인수 전달안됨, const x = yield 1;

res = generator.next(15); //(2)
console.log(res); // {value: 25, done: false}   15를 x변수에 할당 const y = yield ('15'+10) = 25;

res = generator.next(100); //(3)
console.log(res); // {value: 115, done: true}   100을 y변수에 할당 세번째 코드 실행 return '15'+'100' =115
  • 제너레이터는 이터러블이다. 제너레이터는 이터레이터를 어떻게 하면 쉽게 구현할지를 염두에 두며 자바스크립트에 추가되었다.
    • 따라서 for..of 반복문을 사용해 값을 얻을 수 있다.
    • 또한, 이터러블이므로 스프레드 문법(...) 같은 관련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function* generateSequence() {
  yield 1;
  yield 2;
  yield 3;
}

let generator = generateSequence();

for(let value of generator) {
  alert(value); // 1, 2, 3
}
  • 제너레이터의 특수 문법 yield*를 사용하면 제너레이터를 다른 제너레이터에 ‘끼워 넣을 수’ 있습니다.

    • yield 지시자는 실행을 다른 제너레이터에 위임하기 때문이다. 제너레이터는 함수 호출자에게 함수 실행의 제어권을 양도할 수 있다고 했다. 여기서 '위임’은 yield gen이 제너레이터 gen을 대상으로 반복을 수행하고, 산출 값들을 바깥으로 전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치 외부 제너레이터에 의해 값이 산출된 것처럼 말이다.
    • 이와 같은 제너레이터 컴포지션을 사용하면 중간 결과 저장 용도의 추가 메모리가 필요하지 않다.
  • 'yield’를 사용해 제너레이터 안·밖으로 정보 교환하기

    • yield가 양방향 길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yield는 결과를 바깥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값을 제너레이터 안으로 전달하기까지 한다.
      • 값을 안, 밖으로 전달하려면 generator.next(arg)를 호출해야 하고, 이때 인수 arg는 yield의 결과가 된다.
    • 첫 번째 next()를 제외한 각 next(value)는 현재 yield의 결과가 될 값을 제너레이터 안에 전달한다. 그리고 다음 yield의 결과로 되돌아온다.
function* gen() {
  let ask1 = yield "2 + 2 = ?";
  alert(ask1); // 4
  let ask2 = yield "3 * 3 = ?"
  alert(ask2); // 9
}

let generator = gen();
alert( generator.next().value ); // 첫번째 yield "2 + 2 = ?"
alert( generator.next(4).value ); // 4를 제너레이터 안 첫번째 yield로 전달하여 ask1=>4,
                                  // 두번째 yield "3 * 3 = ?"
alert( generator.next(9).done ); // 9를 제너레이터 안 두번째 yield로 전달하여 ask2=>4,
                                 // done: true 이므로 함수 종료

async와 await

  • ES2017에서는 제너레이터보다 간단하고 가독성 좋게 비동기 처리를 동기 처리처럼 구현할 수 있는 async/await가 도입되었다. 프로미스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프로미스의 후속 처리 메서드 없이 마치 동기 처리처럼 프로미스가 처리 결과를 반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 비동기 함수를 만들려면 함수 앞에 async 키워드를 넣어야 한다.
      • 해당 키워드는 자바스크립트에게 항상 프로미스를 반환하도록 지시한다
      • 비동기 함수 내에서 프로미스가 아닌 값을 반환하게 작성하면 자바스크립트가 해당 값을 자동으로 프로미스로 감싼 후에 반환한다.
      • await 키워드는 비동기 함수 내에서만 작동한다.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await 키워드는 프로미스가 결과를 반환할 때까지 기다리도록 자바스크립트에 지시한다.

비동기 반복

  • ES2018에서 도입된 비동기 이터레이터(asynchronous iterator)를 사용하면 비동기적으로 들어오는 데이터(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여러 번에 걸쳐 들어오는 상황)를 필요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 비동기 이터레이터에 더하여 비동기 제너레이터(asynchronous generator)를 사용하면 이런 데이터를 좀 더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다.
  • 비동기 반복자는 next() 메서드가 {value, done} 쌍에 대한 프로미스를 반환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동기 반복자와 매우 유사하다.
    • 각각의 이터러블을 프로미스로 변환해서 작동하는 for-await-of 를 사용할 수 있다.
  • 웹 개발을 하다 보면 띄엄띄엄 들어오는 데이터 스트림(용량이 큰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업로드 할 때처럼)을 다뤄야 하는 경우가 자주 생기는데, 이런 데이터를 처리할 때 async 제너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const array = [1, 2, 3];
async function test() {
  for await (const value of array) {
    console.log(value);
  }
}

test();
//1
//2
//3
  • for await...of로 반복이 가능한 async 제너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 async 제너레이터의 generator.next() 메서드는 일반 제너레이터와 달리
      • 비동기적으로 된다.
      • 프로미스를 반환한다.
      • 일반 제너레이터에서는 result = generator.next()를 사용해 값을 얻으나, async 제너레이터에서는 result = await generator.next()와 같이 await를 붙여줘야 한다.
//async 키워드를 붙이기만 하면 제너레이터 안에서 프라미스와 기타 async 함수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awai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sync function* generateSequence(start, end) {
  for (let i = start; i <= end; i++) {
    // awai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wait new Promise((resolve) => setTimeout(resolve, 1000));
    yield i;
  }
}

(async () => {
  let generator = generateSequence(1, 5);
  for await (let value of generator) {
    alert(value); // 1, 2, 3, 4, 5
  }
})();

this 바인딩

  • this 바인딩 : 바인딩이란 식별자와 값을 연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this 바인딩은 this(키워드로 분류되지만 식별자 역할을 한다)와 this가 가리킬 객체를 바인딩하는 것이다.

  • 메서드 내부의 중첩 함수나 콜백 함수의 this 바인딩을 메서드의 this 바인딩과 일치시키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this 바인딩을 변수 that에 할당
var value = 1;

const obj = {
  value: 100,
  foo() {
    const that = this; //this 바인딩(obj)을 변수 that에 할당한다.
    console.log("foo's this: ", that); // foo's this:  {value: 100, foo: ƒ}
    console.log("foo's this.value: ", that.value); //foo's this.value:  100

    function bar() {
      console.log("bar's this: ", that); // bar's this:  {value: 100, foo: ƒ}
      console.log("bar's this.value: ", that.value); //bar's this.value:  100
    }
    bar();
  },
};

obj.foo();
  • bind 메서드
var value = 1;
const obj = {
  value: 100,
  foo() {
    //콜백 함수에 명시적으로 this를 바인딩한다
    setTimeout(
      function () {
        console.log(this.value);
      }.bind(this),
      100
    );
  },
};

obj.foo();
  • 화살표 함수(화살표 함수를 쓰면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 그냥 똑같이 this 써도 된다.)

import, 모듈

  • 모듈
    • JavaScript 코드를 여러 파일과 폴더에 나누어 작성하고 서로가 서로를 효율적으로 불러올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해져, 모듈 시스템이 ES2015에 추가되었다고 한다.
    • script 태그에 type="module" 어트리뷰트를 추가하거나 package.json 파일에 {"type": "module"} 을 추가하면, 해당 js 파일은 모듈로서 동작한다.
  • 특징
    • import 혹은 export 구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을 모듈로서 재사용할 수 있다.
    • 별다른 처리를 해주지 않아도 엄격 모드(strict mode)로 동작한다
    • 모듈의 가장 바깥쪽에서 선언된 이름은 전역 스코프가 아니라 모듈 스코프에서 선언된다.
      • 따라서 여러 모듈의 가장 바깥쪽에서 같은 이름으로 변수, 함수, 클래스를 선언하더라도, 서로 다른 스코프에서 선언되기 때문에 이름의 충돌이 생길 일이 없다.
  • export default 구문을 통해, 모듈을 대표하는 하나의 값을 지정하고 그 값을 다른 모듈에서 편하게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하는 값을 default export라고 부른다.
    • import 구문에서 이름을 적어주는 부분에 중괄호를 생략하면, 모듈의 default export를 가져온다.
  • import 구문과 export 구문은 모듈 간 의존 관계를 나타내는 것일 뿐, 코드를 실행시키라는 명령이 아니다.

Quick Sort

  • 퀵 정렬은 n개의 데이터를 정렬할 때, 최악의 경우에는 O(n2)번의 비교를 수행하고, 평균적으로 O(n log n)번의 비교를 수행한다.
  • 알고리즘
    • 퀵 정렬은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방법을 통해 리스트를 정렬한다.
        1. 리스트 가운데서 하나의 원소를 고른다. 이렇게 고른 원소를 피벗이라고 한다.
        1. 피벗 앞에는 피벗보다 값이 작은 모든 원소들이 오고, 피벗 뒤에는 피벗보다 값이 큰 모든 원소들이 오도록 피벗을 기준으로 리스트를 둘로 나눈다. 이렇게 리스트를 둘로 나누는 것을 분할이라고 한다. 분할을 마친 뒤에 피벗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1. 분할된 두 개의 작은 리스트에 대해 재귀(Recursion)적으로 이 과정을 반복한다. 재귀는 리스트의 크기가 0이나 1이 될 때까지 반복된다.
    • 재귀 호출이 한번 진행될 때마다 최소한 하나의 원소는 최종적으로 위치가 정해지므로, 이 알고리즘은 반드시 끝난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function quickSort(arr) {
  //3-2. 재귀는 리스트의 크기가 0이나 1이 될 때까지 반복된다
  if (arr.length <= 1) {
    return arr;
  }

  // 1. 리스트 가운데서 하나의 원소를 고른다. 이렇게 고른 원소를 피벗이라고 한다.
  const pivot = arr[0];
  const left = [];
  const right = [];

  // 2. 피벗 앞에는 피벗보다 값이 작은 모든 원소들이 오고, 피벗 뒤에는 피벗보다 값이 큰 모든 원소들이 오도록 피벗을 기준으로 리스트를 둘로 나눈다. 이렇게 리스트를 둘로 나누는 것을 분할이라고 한다. 분할을 마친 뒤에 피벗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다.
  for (let i = 1; i < arr.length; i++) {
    if (arr[i] < pivot) {
      left.push(arr[i]);
    } else {
      right.push(arr[i]);
    }
  }
  //3. 분할된 두 개의 작은 리스트에 대해 재귀(Recursion)적으로 이 과정을 반복한다.
  return quickSort(left).concat(pivot, quickSort(right)); //재귀함수
}
profile
블로그 이사 🚚 https://wonsss.github.io/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