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코드 서비스들은 사용자가 복잡해 하는 기술적인 영역을 대신 구현하고, 그것을 구현한 자신은 서비스 뒤에 숨기며, 사용자가 자신의 비지니스 로직 구현에 집중하고, 비지니스 로직만 코드에 드러날 수 있게 함을 목표한다는 공통된 철학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객체지향적인 코드는 다른 오브젝트의 데이터를 가져와서 작업하는 대신 데이터를 갖고 있는 다른 오브젝트에게 작업을 요청한다. 오브젝트에게 데이터를 요구하지 말고 작업을 요청하라는 것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이기도 하다. 테스트 코드와 애플리케이션 코
기존에 WEB에서 API 서버를 거쳐 외부 시스템까지 전달되는 경로에 모두 외부 시스템에서 정의한 메시지 ID와 의존적인 메시지 구조를 사용했다. 이유는 변환과정이 필요 없어서 간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부 시스템 통신 인터페이스에 변화가 생기면 WEB까지 수정되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