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학습 키워드

  • 파이썬 기초 함수 & 모듈 활용

  • import, math 모듈

  • input() 함수, 자료형 변환 함수(int(), float())

  • pandas, DataFrame 생성

2️⃣ 오늘 학습 내용

오늘은 파이썬에서 기본적인 입력 처리, 자료형 변환, 외부 모듈 활용법에 대해 학습했다.
특히 input() 함수로 사용자에게 입력을 받는 방법,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는 함수,
그리고 수학 계산을 위한 math 모듈과 데이터 분석에 자주 쓰이는 pandas의 기본 사용법까지 정리했다.

📌 input() 함수

  • 정의: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문자열 형태로 받는 함수.
  • 예시: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print("안녕하세요,", name, "님!")

📌 int()와 float() –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

함수 설명 예시 결과

  • int() 정수로 변환 int("5") 5

  • float() 실수(소수)로 변환 float("3.14") 3.14

  • int("3.14")는 에러가 발생하지만, float("3.14")는 정상 작동.

  • float()는 정수 문자열도 변환 가능: float("10") → 10.0

📌 math 모듈 사용법

  • 정의: 제곱근, 삼각함수, 로그 등 다양한 수학 함수가 들어있는 내장 모듈.
  • 사용 전 반드시 import math를 해야 함.
  • 예시:
import math
result = math.sqrt(9)  # 제곱근: 3.0
  • math.sqrt(-1) 같은 계산은 오류 발생: 현실에서 불가능한 계산 → ValueError

📌 import 키워드

외부 라이브러리(모듈)를 불러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 예시:
import math  # 수학 모듈 불러오기
import pandas as pd  # pandas 모듈을 pd라는 이름으로 불러오기

📌pandas & DataFrame 기초

  • 정의: pandas는 테이블 형태(엑셀처럼)의 데이터를 다루는 데 특화된 라이브러리.
  • DataFrame: 행과 열로 구성된 2차원 표 형식의 자료 구조.
  • 예시:
import pandas as pd

data = {'A': [1, 2, None], 'B': [3, None, 5]}
df = pd.DataFrame(data)

print(df)
  • None은 결측값(비어있는 값)으로 처리됨 → 추후 결측치 처리 가능.

3️⃣ 학습하며 어려웠던 점 및 해결 방법

😕 어려웠던 점

  • float()가 정수 문자열도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이 처음엔 낯설었다.

  • import가 왜 필요한지, 언제 어떤 모듈을 불러야 하는지 헷갈렸다.

  • input()으로 입력받은 값이 항상 문자열이라는 사실을 간과함.

🔧 해결 방법

  • 다양한 케이스로 int(), float()을 직접 실습하며 변환 차이를 확인했다.

  • math나 pandas 같은 외부 모듈은 "표준 라이브러리 vs 외부 라이브러리" 개념을 함께 공부하며 이해했다.

  • 입력값을 수로 쓰기 위해서는 반드시 변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코드로 확인하고 체득함.

4️⃣ 오늘의 인사이트

  • input() 함수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 숫자 입력 시에는 자료형 변환이 필수이며, float()는 보다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다.

  • import를 통해 모듈을 불러와야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math, pandas는 실무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 pandas의 DataFrame 구조는 향후 데이터 분석에 있어 기본적인 도구가 되므로 익숙해져야 한다.


🍀 TOD (Thought of the day)

“배움은 어제의 나를 넘어서는 오늘의 유일한 길이다.”
— 알버트 아인슈타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