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

Junho Yeo·2025년 7월 6일
1

RETROSPECTION

원문: https://x.com/_junhoyeo/status/1939894524123484328

지난 3년간을 Web3에서 보냈습니다—최고의 팀(들)에서 PMF 가설들을 테스트하고, 공동창업자로 다른 벤처에 합류했다가 일이 꼬이고, 정리해야 할 부채뿐만 아니라 값비싼 교훈도 안고 돌아왔습니다.

다음 행보를 발표하기 전에, 오늘은 이 독특한 공간에서 배운 것들을 돌아보고자 합니다.

Just Another Business

블록체인 컨퍼런스에 가면 항상 두 부류의 사람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한쪽에는 "탈중앙화가 모든 것을 바꿀 것이다"를 외치며 web3의 철학적 비전을 설파하는 구루들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시장의 흐름을 읽고 빠르게 네러티브에 올라타는 현실주의자들이 있죠. 어제는 NFT, 오늘은 DeFi, 내일은 RWA—그들은 시장이 원하는 것을 민첩하게 포착하고 실행합니다.

전자가 만드는 낭만적 서사는 분명 필요합니다. 하지만 3년간 Web3 생태계에서 깨달은 것은, 결국 이 시장도 극도로 추상화된 형태의 전통적 비즈니스라는 사실입니다. 탈중앙화라는 포장지를 벗겨내면, 그 안에는 여전히 수요와 공급, 인센티브와 경쟁, 그리고 무엇보다 측정 가능한 가치 창출이라는 본질이 남습니다.

결국 프로토콜의 성패는 다음과 같은 지표로 수렴합니다:

  • 일일 거래량이 얼마나 되는가?
  • 실제 사용자(unique wallet이 아닌)는 몇 명인가?
  • 프로토콜이 창출하는 수수료는 얼마인가?
  • 토큰의 가치 축적 메커니즘(value accrual)은 작동하는가?

The Paradox of Easy Entry, Hard Survival

그럼에도 Web3이 기존 비즈니스보다 빌더 입장에서 매력적이라고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면 그 중 하나는 진입 장벽의 극적인 하락일 것입니다.

전통 금융에서 거래소를 만들려면 수년간의 라이선스 취득과 수십억의 자본금이 필요하지만, DeFi에서는 주말 해커톤에서 만든 AMM이 다음 주 메인넷에 배포되어 한 달 만에 수백만 달러를 처리하는 일이 실제로 일어납니다.

L1/L2 재단들은 생태계 확장에 목마른 나머지, 그럴듯한 아이디어만 있어도 그랜트를 뿌려댑니다. 각 체인은 다음 Uniswap이나 Aave가 자신들의 생태계에서 탄생하기를 갈망하지만, 동시에 다른 체인의 성공적인 앱들을 자기 체인으로 가져오고 싶어합니다. 이를 최대한 쉽게 만들기 위해 완벽한 EVM 호환성을 제공합니다. 결과적으로, 한 체인의 성공 사례는 24시간 내에 모든 체인으로 copypasta됩니다.

하지만 낮은 진입장벽은 필연적으로 극도로 높은 생존장벽을 만듭니다. 누구나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은 곧 누구나 당신을 복제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BUSL은 영원한 방패가 되지 못합니다. 결국 모든 혁신은 공공재가 됩니다. 아이디어는 상품이고, 실행만이 차별화 요소입니다.

모든 것은 실행에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Web3에서의 실행력이란 단순히 '빠른 개발'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포크가 일상화된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차별화는 코드가 아닌 다른 곳에서 만들어집니다. 기술적 혁신의 수명은 점차 짧아지고 있고, 유동성과 네트워크 효과는 그보다 조금 더 오래 가지만, 진정한 해자(moat)는 커뮤니티와 문화에서 나옵니다. 대부분의 빌더는 첫 번째에만 집중하다가 사라집니다.

제가 발견한 성공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누가 게임에 있는가 → 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 어떻게 정렬시킬 것인가

더 형식적으로 표현하면:

생태계 이해관계자 매핑
→ 그들의 KPI와 동기 분석
→ 상호보완적 가치 제안 설계

예를 들어:

  • L1 재단: TVL 증가, 개발자 유입, 킬러 앱 확보
  • 유동성 공급자: 높은 수익률, 낮은 무상손실(IL), 안정적 수익
  • 일반 사용자: 낮은 가스비, 직관적 UX, 실질적 유틸리티
  • 기존 프로토콜: 시너지 창출, 컴포저빌리티, 네트워크 효과

더 깊게 들어가 보면, 시장에 새로운 네러티브가 돌 때마다 생태계 안에 있는 여러 프로토콜과 L1 재단은 그것을 그들의 생태계 위로 통합하고 싶어합니다. 시장이 만드는 물결마다 매번 기회가 하나씩 주어지는 셈이죠.

이 모든 이해관계자가 당신의 프로토콜이 존재해야 하는 이유를 각자의 언어로 이해할 때, 비로소 Product-Market Fit의 신호가 나타납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지표를 넘어서 창업자들이 실제로 물어야 할 질문들이 생태계 정렬에 관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 생태계의 기존 제품들 및 그 이해관계자들과 얼마나 정렬되어 있는가? 이는 단순히 금융공학과 인센티브에 관한 것이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그들의 존재 이유(raison d'être)를 얼마나 강화할 수 있는가입니다.
  • 경쟁 제품을 죽일 필요는 없습니다: 서로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다면, 오늘 파이를 나누는 것도 여전히 가치가 있습니다. 더 빨리 실행해서 나중에 이기면 됩니다.
  • 끊임없이 등장하는 시장 네러티브에 적응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까? Web3의 메타는 분기마다 바뀝니다. 적응력이 곧 생존입니다. 이 파도를 타고 계속 진화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까?

The Human Variable

"Code is Law"라고 하지만, 코드를 짜는 것은 결국 사람입니다(Claude 제외). 그리고 Web3 빌딩에서 가장 예측 불가능하고 디버깅하기 어려운 것이 바로 인간 프로토콜입니다.

제가 만났던 Web3 빌더들은 대체로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 The Idealist: 진정으로 탈중앙화의 미래를 믿는 사람들. autistic할 정도로 이상주의적이고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지만, 때로는 현실적 제약을 간과합니다.
  • The Mercenary: 단기적 이익에 집중하는 사람들. "다음 불장까지만 버티면 된다"는 마인드. 실행력은 뛰어나지만 장기적 비전이 부족합니다.
  • The Builder: 기술적 도전과 실질적 가치 창출의 균형을 추구하는 사람들. 가장 희귀하고, 가장 함께하기 어렵고, 가장 함께해야 하는 유형입니다.

Web3 특유의 24/7 시장, 익명성 문화, 그리고 토큰 인센티브는 팀 다이나믹스를 극도로 복잡하게 만듭니다. 여기서 제가 배운 원칙은:

자신의 욕망에 솔직한 사람과 일하라

모든 사람은 무언가에 굶주려 있습니다. 돈, 명예, 기술적 성취, 소속감... 중요한 것은 그 결핍이 무엇인지 스스로 명확히 인지하고 있는가입니다.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는 사람은 방향성 없이 표류하다가 첫 번째 어려움에서 이탈합니다.

반대로 자신의 욕망을 정확히 아는 사람은:

  • 명확한 기대치를 설정할 수 있고
  • 합리적인 보상 체계에 동의할 수 있으며
  • 장기적 목표를 위해 단기적 희생을 감수할 수 있습니다

저는 자신이 원하는 것에 대해 솔직한 사람들이 최고의 공동창업자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런 사람들과는 투명한 대화를 나눌 수 있고, 서로의 동기를 이해할 수 있으며, 오래 지속되는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The Speed Game

Web3의 시간은 다르게 흐릅니다. 전통 시장의 1년이 여기서는 1개월입니다. 이는 기회의 창이 극도로 짧다는 의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빠른 실험과 피벗이 가능하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이 압축된 시간 속에서 살아남으려면:

  • 측정하라: 온체인 데이터는 거짓말하지 않습니다. Dune Analytics, Nansen, 자체 대시보드로 모든 지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세요. 하지만 항상—네러티브는 트랜잭션보다 빠르게 움직입니다. Kaito 같은 도구들은 대부분의 크립토 알파가 나오는 트위터에서 누가 대화를 주도하고 모멘텀을 만드는지 추적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반복하라: 2주 스프린트는 너무 깁니다. 일주일 단위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세요.
  • 연결하라: Web3의 진정한 가치는 컴포저빌리티에 있습니다. 당신의 프로토콜이 다른 프로토콜과 어떻게 시너지를 만들 수 있는지 끊임없이 탐색하세요. 한 번 세상에 나온 토큰은 네러티브 파도를 타면서 평생 그 존재 가치를 증명해야 합니다.

시장의 언어로 말할 줄 알아야 하고, 생태계의 그물망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의해야 하며, 무엇보다 함께 밤을 새울 수 있는 사람들을 찾아야 합니다.

돌아보니, 다른 스타트업 섹터와 다를 바가 없습니다. 결국 모든 것은 냉정한 비즈니스 감각과 뜨거운 실행력에 달려 있습니다.


함께 짧은 시간 안에 압축적인 성장을 경험하실 분 찾고 있습니다 ദ്ദി(。•̀ ,<)~✩‧₊

profile
깃헙.구경,부탁.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