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dir dirname : 폴더 생성하기ls : 현재 접근한 폴더의 파일 확인pwd : 현재 폴더의 절대 경로를 보여줌cd dirname : 폴더로 이동하기echo : 파이썬의 print처럼 터미널에 텍스트 출력cp filename1 filename2 : filename1을 filename2라는 이름으로 복사하기. 폴더를 복사할 때는 -r 옵션을 붙이자. vi filename : vim 편집기로 파일 생성 (메모장 같은 느낌)bash filename.sh : shell script를 실행한다.python filename.py를 하는 것과 같다.sudo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경우 command 앞에 붙임. ex) sudo rm filenamemv : 파일/폴더 이동하기 혹은 이름 바꾸기mv filename1 filename2 : filename1이라는 이름을 가진 파일을 filename2라는 이름으로 바꾼다.mv /dir1/filename1 /dir2 : dir1에 있던 filename1을 dir2로 이동cat filename : filename의 내용을 출력한다.clear : 터미널 창을 깨끗하게 비움history : 최근에 입력한 shell comand의 히스토리를 출력find /dir -name filename : /dir 디렉토리에서 filename이라는 이름을 가지는 파일/폴더 검색tree : 폴더의 하위 구조를 계층적으로 표현해준다.(sudo) apt-get install tree로 설치해준다.tree -L 2와 같이 사용하여 2단계까지 보여준다.grep : 파일에 주어진 패턴 목록과 매칭되는 라인 검색 (참조)ls | grep "vi"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명 중 "vi"가 들어간 단어를 찾을 때ps : 현재 실행하고 있는 프로세스 출력. 실행중인 PID를 찾을 때 활용한다.df -h : 현재 사용중인 디스크 용량 확인ssh : 원격으로 컴퓨터에 접속하고 명령할 수 있는 프로토콜ssh -p portnum username@ip-X 옵션을 추가하면 원격 컴퓨터의 GUI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scp : 네트워크로 연결된 호스트 간의 파일을 전송-r 옵션을 추가할 경우 디렉토리 복사 가능scp -P portnum -r /dir1/dir2 username@ip:/dir3 과 같은 형태로 로컬 컴퓨터의 /dir1/dir2 내용을 원격 컴퓨터 (ipaddress)의 dir3로 복사할 수 있음chmod nnn filename : 파일의 권한 변경nnn은 소유자 권한 / 그룹 권한 / 기타 사용자의 권한을 나타내는 세 자리 수이다.n은 1에서 7까지의 숫자 중 하나로, 숫자로 권한을 알 수 있다.chmod 755 filename를 하면 소유자에게는 실행 & 쓰기 & 읽기 권한을, 그룹과 기타 사용자에게는 실행 & 읽기 권한을 주는 것이다. cd dirname : 폴더로 이동하기cd dirname : 폴더로 이동하기linux 쉘에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이름의 프로그램이 있는지 검색을 하게 되는데, 이 때 $PATH라는 환경 변수를 이용해서 경로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PATH에 프로그램 실행 경로를 추가해주면 명령어를 입력받았을 때 PATH 환경 변수에 있는 디렉토리에서 실행파일을 찾아 실행하게 된다.
현재 쉘에서만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따라서 쉘을 종료하면 환경 변수 설정이 무효가 됨)과 영구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이 있는데 여기서는 후자만 다루도록 하겠다. (보통 프로그램 설치하고 상시 작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하기 때문에)
vi ~/.bashrc로 bashrc 파일에 아래와 같이 프로그램을 설치한 경로 (/home/username/dir1)를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저장한다. (esc → :wq)
export PATH=/home/username/dir1:$PATH
그 후 source ~/.bashrc를 하면 환경 변수 설정이 영구적으로 변경된다.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서 작업할 때, 명령어가 길면 비효율적이고 불편하다. 따라서 alias (사전에서 보면 '가명'이라는 뜻) 를 설정하여 긴 명령어에 짧은 별칭을 지정해두고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bashrc 파일을 수정함으로써 등록할 수 있다.
vi ~/.bashrc로 alias sex='source-extractor를 추가하고 저장한 후에 source ~/.bashrc 하면 영구적으로 프로그램의 별칭을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의 예시에서는 source-extractor라는 긴 이름의 프로그램을 sex 3자만 입력하여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Image credit : Danielpr85
unix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commmand 실행 시 3개의 stream이 생성된다.
https://zhfvkq.tistory.com/39
https://coding-factory.tistory.com/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