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ft | 프로그래머스 Lv.1] 신고 결과 받기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Minji Kim·2022년 3월 1일
1
post-thumbnail

문제

문제 설명

신입사원 무지는 게시판 불량 이용자를 신고하고 처리 결과를 메일로 발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 무지가 개발하려는 시스템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각 유저는 한 번에 한 명의 유저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신고 횟수에 제한은 없습니다. 서로 다른 유저를 계속해서 신고할 수 있습니다.
    • 한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유저에 대한 신고 횟수는 1회로 처리됩니다.
  • k번 이상 신고된 유저는 게시판 이용이 정지되며, 해당 유저를 신고한 모든 유저에게 정지 사실을 메일로 발송합니다.
    • 유저가 신고한 모든 내용을 취합하여 마지막에 한꺼번에 게시판 이용 정지를 시키면서 정지 메일을 발송합니다.

다음은 전체 유저 목록이 ["muzi", "frodo", "apeach", "neo"]이고, k = 2(즉, 2번 이상 신고당하면 이용 정지)인 경우의 예시입니다.

유저 ID유저가 신고한 ID설명
"muzi""frodo""muzi"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frodo""apeach"가 "frodo"를 신고했습니다.
"frodo""neo""frodo"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muzi""neo""muzi"가 "neo"를 신고했습니다.
"apeach""muzi""apeach"가 "muzi"를 신고했습니다.

각 유저별로 신고당한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신고당한 횟수
"muzi"1
"frodo"2
"apeach"0
"neo"2

위 예시에서는 2번 이상 신고당한 "frodo"와 "neo"의 게시판 이용이 정지됩니다. 이때, 각 유저별로 신고한 아이디와 정지된 아이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저 ID유저가 신고한 ID정지된 ID
"muzi"["frodo", "neo"]["frodo", "neo"]
"frodo"["neo"]["neo"]
"apeach"["muzi", "frodo"]["frodo"]
"neo"없음없음

따라서 "muzi"는 처리 결과 메일을 2회, "frodo"와 "apeach"는 각각 처리 결과 메일을 1회 받게 됩니다.

이용자의 ID가 담긴 문자열 배열 id_list, 각 이용자가 신고한 이용자의 ID 정보가 담긴 문자열 배열 report, 정지 기준이 되는 신고 횟수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유저별로 처리 결과 메일을 받은 횟수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id_list의 길이 ≤ 1,000
    • 1 ≤ id_list의 원소 길이 ≤ 10
    • id_list의 원소는 이용자의 id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id_list에는 같은 아이디가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1 ≤ report의 길이 ≤ 200,000
    • 3 ≤ report의 원소 길이 ≤ 21
    • report의 원소는 "이용자id 신고한id"형태의 문자열입니다.
    • 예를 들어 "muzi frodo"의 경우 "muzi"가 "frodo"를 신고했다는 의미입니다.
    • id는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이용자id와 신고한id는 공백(스페이스)하나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자기 자신을 신고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1 ≤ k ≤ 200, k는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은 id_list에 담긴 id 순서대로 각 유저가 받은 결과 메일 수를 담으면 됩니다.

입출력 예

id_listreportkresult
["muzi", "frodo", "apeach", "neo"]["muzi frodo","apeach frodo","frodo neo","muzi neo","apeach muzi"]2[2,1,1,0]
["con", "ryan"]["ryan con", "ryan con", "ryan con", "ryan con"]3[0,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ryan"이 "con"을 4번 신고했으나, 주어진 조건에 따라 한 유저가 같은 유저를 여러 번 신고한 경우는 신고 횟수 1회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con"은 1회 신고당했습니다. 3번 이상 신고당한 이용자는 없으며, "con"과 "ryan"은 결과 메일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0, 0]을 return 합니다.


풀이

나의 풀이

  1. id_list의 각 값을 키로 하는 딕셔너리 만들기(초기화)
  2. report로 유저별 신고당한 정보 구하기
  3. 정지된 유저 구하기
  4. 유저별 받을 결과 메일 수 구하기(result)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id_list:[String], _ report:[String], _ k:Int) -> [Int] {
    var result: [Int] = Array(repeating: 0, count: id_list.count)   // 각 유저가 받은 결과 메일 수
    var reportedInfo = [String: Set<String>]()                      // 유저별 신고당한 정보
    var suspendedUser = [String]()                                  // 정지된 유저 ID
    
    // 딕셔너리 만들기
    id_list.forEach { id in
        reportedInfo[id] = []
    }
    
    // 유저별 신고당한 정보 구하기
    report.map { $0.split(separator: " ") }.forEach { content in
        let reporter = String(content[0]), reported = String(content[1])
        reportedInfo[reported]?.insert(reporter)    // 동일 중복 신고 방지
    }
    
    // 이용 정지 유저 구하기
    reportedInfo.forEach { report in
        if report.value.count >= k {
            suspendedUser.append(report.key)
        }
    }
    
    // 유저별 받을 결과 메일 수 구하기
    suspendedUser.forEach { key in
        reportedInfo[key]!.forEach { id in
            result[id_list.firstIndex(of: id)!] += 1
        }
    }
    
    return result
}

첫 번째 시도 > 테스트 14 시간초과
유저별 받은 결과 메일 수를 담는 [String: Int] 딕셔너리 변수(numOfResultEmail)를 두고 계산해서 최종 return 문에서 아래와 같이 값을 구했는데, 이러면 return 문에서 map을 한 번 더 실행해야 돼서 시간이 더 오래 걸린 것 같았다. 그래서 numOfResultEmail 변수를 없애고 result 변수로 계산하고 값을 반환하니 더 빨라졌다.

return id_list.map { id in
    numOfResultEmail[id]
 }

두 번째 시도 > 테스트 3 시간초과
한 유저를 여러번 중복해서 신고하는 건 안되기 때문에 처리를 해줘야하는데, 원래는 if문을 타서 이미 포함되었는지 체크하도록 했다. 그런데 일일이 if문을 타는게 오래걸리는 듯 싶어 배열 중복 제거가 되는 Set을 이용했더니 빨라졌다.

정확성테스트정확성테스트
테스트 1 〉통과 (0.19ms, 16.5MB)테스트 2 〉통과 (0.21ms, 16.4MB)
테스트 3 〉통과 (7869.30ms, 56.8MB)테스트 4 〉통과 (0.48ms, 16.4MB)
테스트 5 〉통과 (0.28ms, 16.5MB)테스트 6 〉통과 (6.02ms, 16.6MB)
테스트 7 〉통과 (15.51ms, 17.5MB)테스트 8 〉통과 (31.19ms, 18.3MB)
테스트 9 〉통과 (2094.20ms, 35.7MB)테스트 10 〉통과 (285.85ms, 35.5MB)
테스트 11 〉통과 (2959.59ms, 56.2MB)테스트 12 〉통과 (3.09ms, 16.7MB)
테스트 13 〉통과 (1.19ms, 16.5MB)테스트 14 〉통과 (2593.59ms, 35.8MB)
테스트 15 〉통과 (636.35ms, 53.4MB)테스트 16 〉통과 (1.15ms, 16.4MB)
테스트 17 〉통과 (1.26ms, 16.6MB)테스트 18 〉통과 (4.58ms, 16.7MB)
테스트 19 〉통과 (7.57ms, 16.9MB)테스트 20 〉통과 (2226.18ms, 36.2MB)
테스트 21 〉통과 (4284.31ms, 53.3MB)테스트 22 〉통과 (0.12ms, 16.5MB)
테스트 23 〉통과 (0.12ms, 16.6MB)테스트 24 〉통과 (0.11ms, 16.4MB)

다른 사람의 풀이

  • reported : 유저별 신고당한 횟수 [신고당한 사람: 신고당한 횟수]
    • ["neo": 2, "muzi": 1, "frodo": 2]
  • user : 유저별 신고한 사람 [신고자: [신고당한 사람]]
    • ["apeach": ["frodo", "muzi"], "muzi": ["neo", "frodo"], "frodo": ["neo"]]

애초에 Set(report)로 동일 중복 신고를 제거하고 값을 구한다.
그리고 return 문에서 map과 reduce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최종 값을 구한다.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id_list:[String], _ report:[String], _ k:Int) -> [Int] {
    var reported: [String: Int] = [:]
    var user: [String: [String]] = [:]

    for r in Set(report) {
        let splited = r.split(separator: " ").map { String($0) }
        user[splited[0]] = (user[splited[0]] ?? []) + [splited[1]]
        reported[splited[1]] = (reported[splited[1]] ?? 0) + 1
    }

    return id_list.map { id in
        return (user[id] ?? []).reduce(0) {
            $0 + ((reported[$1] ?? 0) >= k ? 1 : 0)
        }
    }
}
정확성테스트정확성테스트
테스트 1 〉통과 (0.12ms, 16.4MB)테스트 2 〉통과 (0.19ms, 16.4MB)
테스트 3 〉통과 (918.93ms, 39.6MB)테스트 4 〉통과 (0.25ms, 16.3MB)
테스트 5 〉통과 (0.28ms, 16.6MB)테스트 6 〉통과 (5.76ms, 16.8MB)
테스트 7 〉통과 (9.74ms, 17MB)테스트 8 〉통과 (11.48ms, 17MB)
테스트 9 〉통과 (415.53ms, 27.2MB)테스트 10 〉통과 (430.75ms, 26.6MB)
테스트 11 〉통과 (929.29ms, 39.5MB)테스트 12 〉통과 (1.57ms, 16.3MB)
테스트 13 〉통과 (1.24ms, 16.6MB)테스트 14 〉통과 (287.48ms, 26.7MB)
테스트 15 〉통과 (432.55ms, 37.9MB)테스트 16 〉통과 (0.90ms, 16.2MB)
테스트 17 〉통과 (1.19ms, 16.5MB)테스트 18 〉통과 (2.10ms, 16.6MB)
테스트 19 〉통과 (3.84ms, 16.5MB)테스트 20 〉통과 (280.26ms, 26.8MB)
테스트 21 〉통과 (455.03ms, 37.3MB)테스트 22 〉통과 (0.09ms, 16.4MB)
테스트 23 〉통과 (0.09ms, 16.5MB)테스트 24 〉통과 (0.09ms, 16.2MB)

정리


목표 풀이 시간 : 1시간
실제 풀이 시간 : 1시간 18분
정답률 : 80.13%

이 문제는 2021년 9월에 진행된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1차 코딩 테스트에 출제된 문제로 총 7문제 중 첫 번째로 출제되었다.

해설

이 문제는 해시 자료구조를 활용할 수 있는지 묻는 문제였습니다.

report를 하나씩 처리하면서 각 유저가 누구에게 신고를 당했는지 목록을 만듭니다.

[신고된 유저 아이디 1] : [신고한 유저 A, 신고한 유저 B, ... ][신고된 유저 아이디 2] : [신고한 유저 A, 신고한 유저 C, ... ] ... [신고된 유저 아이디 N] : [신고한 유저 X, 신고한 유저 Y, ... ]

유저 아이디는 최대 1,000개, report의 길이는 최대 200,000이므로 신고된 유저 아이디를 배열에 관리한다면 최악의 경우 O(아이디 개수 * report의 길이) 만큼의 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신고된 유저 아이디를 해시(또는 연관 배열) 자료구조를 이용해 관리하면 효율적으로 목록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신고한 유저 목록에는 같은 아이디가 중복되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위와 같이 목록을 만들었다면 신고된 유저 아이디를 순회하면서 정지 기준을 만족하는 유저가 있다면(신고한 유저 수가 k 이상이면) 신고한 유저 목록을 순회하면서 메일을 보냈다는 표시(카운트를 1 증가) 해주면 됩니다.


후기

이번 문제는 풀이 계획과 방법을 세우는데 치중했다. 그래서 계획에 맞게 차근차근 풀이했지만 두번이나 시간초과 오류가 발생해서 오류를 해결하면서 시간이 많이 흘렀다.

이번에도 너무 1차원적인 생각이었다.. 다른 사람의 풀이는 Set(report)로 한번에 중복 신고를 제거했는데..😮‍💨

문제를 빨리 이해하고 바로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코딩해야 시간도 절약될텐데, 맞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풀이 시간이 정말 시급하다. 실전에선 5시간 정도의 시간이 주어지는데 문제는 7문제 정도니..

그래도 이번 문제는 풀었으니 힘내서 코뽀하자👊

profile
iOS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