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rimitive Type (기본 - 원시 타입)
2. Reference Type (참조 타입)
기본 타입은 데이터의 실제 값을 할당
하지만, 참조타입은 저장된 주소값을 할당
한다.
null은 빈 값(blank)이다. 사용자가 직접 부여한다.
undefined는 선언은 됐지만 아직 value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console.log(null == undefined); // true
console.log(null === undefined); // false
둘 다 '값이 없음'
을 나타내기에 동등연산자로 비교했을 시에는 true가 나오지만, type이 다르기 때문에 일치연산자로 비교했을 시에는 false가 나온다.
console.log(typeof null); // object
console.log(typeof undefined); // undefined
null은 object 타입 undefined는 undefined 타입으로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 📢 typeof null의 결과가 object인것은 자바스크립트의 버그라고 한다.
let test = null;
console.log(test === null); // ture
null 타입의 검사는 일치연산자로 확인할 수 있다.
const iAm = {
name : minji,
city : Seoul
}
console.log(iAm); // {name: "minji", city: "Seoul"}
객체는 키와 값(key-value)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 모음이다. 값들을 속성(Property)라고 부르며, 중괄호'{}'를 통해 객체를 만들 수 있다
let color = [red, black, white];
console.log(color); // [red, black, white]
배열은 이름과 인덱스로 이루어진 값의 집합이다. 배열을 구성하는 값들을 요소(element)라고 부르며, 대괄호'[]'를 통해 배열을 만들 수 있다.
잘 봤습니다.
그런데 제가 책에서 본 바로는 null의 type이 object라는 것은 javascript 자체 버그라고 하네요!
(관련 링크입니다. https://2ality.com/2013/10/typeof-null.html)
와.. 저도 이렇게 깔끔하게 정리하고 싶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