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귀를 활용하기 좋은 상황은 언제인지
문제를 작게 쪼갤 수 있을때
반복문의 중첩 횟수 예측이 어려울때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변수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서
UI/UX의 개념과 두 개념의 관계
ui는 사용자가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점이다.
ux는 사용자 경험으로, 사용자가 어떤 플로우를 가지고 행동할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ux는 ui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styled components를 사용하면서 느낀 장점
큰 규모의 프로젝트일 수록 유용할 것 같다.
불필요한 클래스명 사용을 줄일 수 있다.
useRef가 필요한 상황
인풋창을 포커스하는 등 돔 요소에 접근할때
유즈레프는 값을 변경하면, 내부적으로는 변경이 계속 생기지만 리렌더링은 발생하지 않는다. 자주 변경되는 값에 사용하면 좋다. 그 예는?
리덕스의 필요성
상태 변경을 위해 프롭스를 통해 내려줄때, 거쳐야 하는 컴포넌트가 많은 경우 유용하다. 리덕스는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저장소를 따로 두고 있어서, 상태관리시 저장소를 통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컴포넌트를 거치지 않아도된다.
리덕스의 주요개념과 연결 관계
상태를 변경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디스패치 함수가 액션객체를 리듀서함수에 전달하고, 리듀서함수는 이 액션객체를 보고 스토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변경하게 된다. 액션객체는 리듀서가 어떤식으로 동작할지에 대한 정보를 담으 객체이다.
시멘틱 태그의 필요성
검색효율증가, 웹접근성 향상, 코드 파악에 용이
ip프로토콜의 한계
비연결성 -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어서 서비스가 안되는 상태여도 알 수 없기 때문에 일단 패킷을 전송
비신뢰성 - 데이터를 전달하던 중 문제가 생겨 패킷이 중간에 소실되도 클라이언트는 이를 파악할 수 없다. 또한 데이터가 큰 경우 패킷을 나눠서 전달하게 되는데, 이 때 순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http프로토콜의 특징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과 응답을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http프로토콜은 무상태성과 비연결성이 특징이다.
이런 특징은 서버 확장에 유리하고 요청시 서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다른 서버에서 응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시 요청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인 경우는 상태 유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쿠키, 세션 등을 이용한 상태 유지가 필요하다.
http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요청과응답시에만 연결되고 연결이 유지되지 않는다. 서비스 규모가 커지게 되면 주고받는 데이터가 많아지게 될텐데 그럴때마다 연결을 끊고 다시 연결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현재는 모든 응답이 돌아올 때까지 지속 연결하는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http메세지
단순함, 확장가능
쿠키의 MaxAge, Expires 옵션이 무엇인지, 설정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지
쿠키가 유지되는 기간이다. 해당옵션에서 설정한 기간이 지나면 쿠키가 삭제된다. 설정하지 않으면 브라우저 종료시 해당 쿠키가 삭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