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도함수

Oak_Cassia·2021년 11월 16일
0

미분계수와 변화율

곡선의 기울기 : 곡선 위의 한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
점 P(a, f(a))에서 곡선 y=f(x)의 접선은 다음과 같은 기울기를 가지고 점 p를 지나는 직선이다.
m=limxam=\lim_{x→a}f(x)f(a)xaf(x)-f(a)\over x-a , f(a+h)f(a)hf(a+h)-f(a)\over h

속도 문제

순간 속도 V(a)=limh0V(a)=\lim_{h→0}f(a+h)f(a)hf(a+h)-f(a)\over h

미분계수는 faf'a를 나타낸다.

변화율 Δx=x2x1Δx= x_2- x_1
x에 대한 y 의 변화: Δy=f(x2)f(x1)Δy=f(x_2)-f(x_1)

x에 대한 y의 순간 변화율: limΔx0\lim_{Δx→0}ΔyΔxΔy\over Δx=limx1x2\lim_{x_1→x_2}f(x2)f(x1)x2x1f(x_2)-f(x_1)\over x_2-x_1

함수로서 도함수

f(x)f'(x)=yy'=dydxdy\over dx=dfdxdf\over dx=ddxd\over dxf(x)f(x)=Df(x)Df(x)=Dxf(x)D_xf(x)
D와 ddxd \over dx는 미분 연산자 라고 한다. 미분의 연산을 나타낸다.

f(a)f'(a)가 존재한다면 함수 f는 a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한다. 함수 f가 구간 안의 모든 수에서 미분 가능하다면 개구간(a, b)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한다.
f가 a에서 미분 가능하다면 a에서 연속이다.


미분이 불가능한 경우
꺽인 점
불연속 점
수직 접선

고계 도함수: (ddxd\over dx)(dydxdy\over dx)=(d2ydx2d^2y\over dx^2)
y=f(x)y''=f''(x)
상수함수의 도함수는 0이다.

n이 양의 (정수, 실수)이면 ddxd\over dxxn=nxn1x^n= nx^n-1

함수의 도함수

ddxd\over dx[cf(x)]=c[cf(x)]=cddxd\over dxf(x)f(x)
ddxd\over dx[f(x)±g(x)]=[f(x)±g(x)]=ddxd\over dxf(x)±f(x)±ddxd\over dxg(x)g(x)

곱의 법칙
ddxd\over dxf(x)g(x)=f(x)g(x)+f(x)g(x)f(x)g(x)=f(x)g'(x)+f'(x)g(x)
나눗셈의 법칙
ddxd\over dxf(x)g(x)f(x)\over g(x)=g(x)f(x)g(x)f(x)[g(x)]2g(x)f'(x)-g'(x)f(x)\over [g(x)]^2

ddxd\over dxsinx=cosx\sin x=\cos x
ddxd\over dxcosx=sinx\cos x=-\sin x
ddxd\over dxtanx=sec2x\tan x=\sec^2 x
ddxd\over dxcscx=cscxcotx\csc x=-\csc x \cot x
ddxd\over dxsecx=secxtanx\sec x=\sec x \tan x
ddxd\over dxcotx=csc2x\cot x=-\csc^2 x

연쇄 법칙
F=fg, F(x)=f(g(x))F= f∘g,\ F(x)=f(g(x))일때
F(x)=(fg(x))×(g(x)F'(x)=(f'g(x))×(g'(x)
u=g(x) 일 때
dydudy\over du=dydudy\over dududxdu\over dx

음함수의 미분법

데카르트의 엽선: x3+y3=6xyx^3+y^3=6xy

음함수의 미분법: 양변을 x로 미분하고 그 결과를 yy'에 대해 푼다.(dydydy \over dy이용)

역함수의 도함수

역함수 f1f^{-1}를 가지는 f가 일대일 미분 가능한 함수이고 f(f1(a))0f'(f^{-1}(a))≠0 이면, 역함수는 a에서 미분 가능하다.
(f1)(a)=(f^{-1})'(a)=dydxdy\over dx=1dx/dy1\over dx/dy=1f(b)1 \over f'(b)=1f(f1(a))1 \over f'(f^{-1}(a))

지수함수의 도함수

f(x)=(1+x)1xf(x)=(1+x)^{1 \over x}
limx0(1+x)1x=elim_{x→0}(1+x)^{1 \over x}=e
limx0(1+1x)x=elim_{x→0}(1+{1 \over x})^x=e

limh0ah1h=lnalim_{h→0}{{a^h-1}\over h} = \ln a
limh0eh1h=1lim_{h→0}{{e^h-1}\over h} = 1

지수함수의 미분법
ddxax=axlna{d \over dx}a^x=a^x\ln a
ddxex=ex{d \over dx}e^x=e^x

로그함수의 도함수

xdxax=axlna{x \over dx}a^x=a^x\ln a
xdxex=ex{x \over dx}e^x=e^x
xdxlny=1ydydx{x \over dx}\ln y ={1 \over y}{dy \over dx}
xdxlng(x)=g(x)g(x){x \over dx}\ln g(x) ={g'(x) \over g(x)}
ddxlnx=1x{d \over dx} \ln |x| = {1 \over x}

로그 미분법
복ㅈ바한 함수의 도함수는 종종 로그를 취해 간단히 해결될 수 있다.
1. 방정식 y=f(x)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고 로그 법칙을 이용하여 간단히 한다.
2. x에 대해 음함수적으로 미분한다.
3. 결과적인 방정식을 yy'에 대해 푼다.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y=sin1x,siny=x,π2yπ2y=\sin^{-1}x, \sin y=x, {- \pi \over 2}\leq y \leq{ \pi \over 2}
sin y=x를 x에 대해 음함수적으로 미분하여 다음을 얻는다.
1. cosydydx=1\cos y{dy \over dx}=1
2. dydx=1cosy{dy \over dx}={1 \over \cos y}
3. cosy=1sin2y=1x2\cos y = \sqrt {1- \sin^2 y}= \sqrt {1- x^2}
4. dydxdy \over dx=1cosy1\over \cos y=11x21\over \sqrt{1-x^2}

dydxsin1x=11x2 ,1x1{dy \over dx}\sin^{-1}x = {1 \over \sqrt{1-x^2}}\ , -1 \leq x\leq1

dydxcos1x=11x2 ,1x1{dy \over dx}\cos^{-1}x = -{1 \over \sqrt{1-x^2}}\ , -1 \leq x\leq1

dydxtan1x=11+x2{dy \over dx}\tan^{-1}x = {1 \over {1+x^2}}

dydxcsc1x=1xx21{dy \over dx}\csc^{-1}x = {1 \over x\sqrt{x^2-1}}

dydxsec1x=1xx21{dy \over dx}\sec^{-1}x = - {1 \over x\sqrt{x^2-1}}

dydxcot1x=11+x2{dy \over dx}\cot^{-1}x = -{1 \over {1+x^2}}

쌍곡선함수의 도함수

ddxsinhx=coshx{d \over dx}\sinh x= \cosh x
ddxcoshx=sinhx{d \over dx}\cosh x= \sinh x
ddxtanhx=sech2x{d \over dx}\tanh x= sech^2 x
ddxcschx=cschxcothx{d \over dx}csch x= -cschx \coth x
ddxsechx=sechx tanhx{d \over dx}sech x= sech x \ \tanh x
ddxcothx=csch2x{d \over dx}\coth x= -csch^2 x

역쌍곡선 함수의 도함수

dydxsinh1x=11+x2{dy \over dx}\sinh^{-1}x = {1 \over \sqrt{1 +x^2}}

dydxcosh1x=1x21{dy \over dx}\cosh^{-1}x = {1 \over \sqrt{x^2-1}}

dydxtanh1x=11x2{dy \over dx}\tanh^{-1}x = {1 \over {1-x^2}}

dydxcsch1x=1x1x2{dy \over dx}csch^{-1}x = -{1 \over |x|\sqrt{1-x^2}}

dydxsech1x=1x1x2{dy \over dx}sech^{-1}x = - {1 \over x\sqrt{1-x^2}}

dydxcoth1x=11x2{dy \over dx}\coth^{-1}x = {1 \over {1-x^2}}

관련된 비율
자연성장법칙 dydtdy \over dt=kyky, k>0
자연붕괴법칙 dydtdy \over dt=kyky, k<0
미분 방정식 dydtdy \over dt=kyky의 유일한 해는 y(t)=y(0)ekte^{kt}

선형근사와 미분
y=f(a)+f(a)(xa)y=f(a)+f'(a)(x-a)

선형근사
f(x)f(a)+f(a)(xa)f(x)\approx f(a)+f'(a)(x-a)

선형화
L(x)=f(a)+f(a)(xa)L(x)=f(a)+f'(a)(x-a)
a부근의 값들에 대한 근사값을 구할 수 있다. (x가 a부근에 있을 때)

미분
미분가능한 함수 f에 y=f(x)라 하면 미분 dx는 독립변수이다. dx는 임의의 실수값으로 주어질 수 있다.
dy=f'(x)*dx, Δy=f(x+Δx)-f(x)
f(a+dx)\approxf(a)+dy

profile
rust로 뭐할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