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1 스택이란?01-2 배열 구조로 스택 구현하기01-3 스택의 응용: 괄호 검사01-4 파이썬에서 스택 사용하기01-5 시스템 스택과 순환 호출마지막에 들어간 자료가 가장 먼저 나오는 자료구조후입선출(LIFO: Last-In First-Out)의 형태로 제한되는
02-1 큐란?02-2 배열로 구현하는 큐02-3 덱이란?02-4 상속을 이용한 덱의 구현02-5 파이썬에서 큐와 덱 사용하기가장 먼저 들어간 자료가 가장 먼저 나오는 자료구조선입선출(FIFO: First-In First-Out)후단(rear): 삽입이 일어나는 곳전단

3-1 리스트란?3-2 배열 구조와 연결된 구조3-3 배열 구조의 리스트: 파이썬 리스트3-4 연결 리스트의 구조와 종류3-5 단순 연결 구조로 리스트 구현하기3-6 이중 연결 구조로 리스트 구현하기자료들이 차례대로 나열된 선형 자료구조각 자료는 순서 또는 위치를 가짐

04-1 트리란? 04-2 이진 트리 04-3 이진 트리의 연산 04-4 모스 코드 결정 트리 04-5 수식 트리 04-1 트리란? 트리 계층적인 관계를 가진 자료의 표현에 유용하게 사용됨 트리의 사용 우선순위 큐를 효율적으로 구현 결정 트리(decision tree

05-1 알고리즘이란?05-2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적인 절차컴퓨터에서 수행되는 문장프로그래밍 언어와 상관없이 문제 해결 절차를 나타내는 명령어의 집합입력: 모호하지 않고 잘 정의된 입력출력: 명확히 정의된 1개 이상의 출력명확성: 각

06-1 정렬이란?06-2 선택 정렬06-3 삽입 정렬06-4 퀵 정렬06-5 기수 정렬06-6 파이썬의 정렬 함수 활용하기 정렬: 순서가 없는 데이터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는 작업사전의 단어 정렬, 학생 성적 순위, 쇼핑몰 상품 목록 등 실생활과 컴퓨터

07-1 탐색이란?07-2 순차 탐색07-3 이진 탐색07-4 이진 탐색 트리데이터의 집합에서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를 찾는 작업탐색을 위한 대상레코드의 집합탐색의 기준이 되는 필드배열이나 연결 리스트와 같은 자료 구조에서 데이터를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씩 순서대

08-1 그래프란?08-2 그래프의 표현08-3 그래프 순회08-4 신장 트리08-5 최소 비용 신장 트리복잡하게 연결된 객체 사이 관계를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자료구조선형 자료구조, 트리 -> 그래프로 표현 가능가장 일반화도된 자료구조정점(vertex): '위치

11-1 동적 계획법이란?11-2 최장 공통 부분 순서11-3 배낭 채우기 큰 문제를 작은 문제로 나누고, 중복되는 작은 문제의 해답을 저장하여 반복 계산을 피하는 알고리즘 설계 기법핵심은 같은 문제를 두 번 이상 풀지 않는다피보나치 수열의 정의분할 정복 방식 : 비효

12-1 공간으로 시간을 살 수 있나요?12-2 해싱12-3 백트래킹 시간과 공간의 효율성은 항상 서로 충돌하는 요소시간 효율성이 더 중요하게 인식되기 때문에 공간을 희생해 많은 메모리를 사용하여 처리시간을 줄이려는 다양한 전략들이 개발되고 있음" → 공간으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