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와 서블릿 공부하면서 이후에 있을 Model 2 로 만드는 게시판 프로젝트 및 예제들을 하기 위해서 DB를 어느정도 기본기를 잡고 가야하기 때문에 이렇게 포스팅 하게 되었습니다. SQLD 공부하면서 내용이 겹치는 부분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DB는 SQL과의 연관성을 떼어내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데이터 베이스 DB란 ? 여러 시스템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저장되어 운용되는 데이터의 집합 (통합된 데이터라고 합니다) 사용 이유? 원래 응용 프로그램마다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가지기 때문에 데이터의 중복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but, DB를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실시간 접근 (클라이언트가 DB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요청하면 DB는 실시간 응답)이 가능합니다 2번의 특징으로 (삽입, 삭제, 갱신)으로 계속적인 데이터의 변화가 일어납니다. DBMS 기
3월 15일 스터디 이후, 제 스스로가 많이 부족함을 느꼈습니다. 스터디에 주어진 과제도 타 팀원들에 비해 확실하게 해가지 않았었던 것 같습니다. 저에게 좋은 인연이고, 좋은 기회이며, 친절하신 분들에게 많은 것을 배우며, 협업할 수 있는 이 기회를 스스로 차버리고 싶지 않았습니다. 이에 제가 부족한 부분은 메모장에 메모하여 스스로 알아보고 공부해서 팀원들이 얘기하는 주제에 대해 따라가고 싶었고, 그렇게 되어보자 생각했습니다. 이에 db에 기초인 sql에 대한 개념을 공부하려 합니다. 기초적인 것들부터 제가 기억하고자 하는 것들은 전부 다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 서론이 길었네요. 시작하겠습니다. 모델링 데이터 베이스의 모델링은 현실 세계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기법 이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분석/설계의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헬스장에서 헬스 회원과 트레이너 사이의 피티를 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상황을 도식화하면, 멤버(회원), 트레이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