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파일에서 css 파일을 참조하려면 link 태그를 사용한다. 아래 코드의 <link href= .. 부분항상 툴에서 자동으로 해줘서 각 속성이 어떤 뜻인지 몰랐는데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기로 했다.link taglink 태그로 사용할 css 파일을 링크해준
https://www.color-hex.com/https://codepen.io/sosuke/pen/Pjoqqp위의 페이지에서 Target color 에서 hex 값 넣고, filter 값 알아내기검색해보니 동일한 모양의 색갈이 다른 여러 개의 파일을
전체 선택자이며 아래와 같이 조합해서 사용한다.요소 이름 (태그 이름) 의 모든 요소를 선택한다.지정한 클래스 이름을 가진 모든 요소를 선택한다.지정한 아이디 하나를 선택한다.(고유)태그가 가진 속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input attr해당 속성을 가지고 있는 inp
CSS overflow 속성 정리 상속 되지 않는다. 애니메이션 되지 않는다. > overflow: visible 영역을 벗어난 부분을 표시한다 (기본 값) > overflow: hidden 영역을 벗어난 부분을 잘라서 보이지 않게 한다. > overflow
예전에는 HTML 화면을 배치하기 위해서 float 이라는 속성을 많이 이용했다고 한다.그런데 float 은 예상하지 못했던 동작들이 많이 발생하고, 원하는 대로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없는 HTML 요소를 추가적으로 작성해야하는 일이 생길수도 있다.그런데 flex
HTML 요소가 가지고 있는 postion 속성으로 해당 요소의 위치를 절대 위치 값과 상대 위치 값을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 position 개념을 이해하기 전에 알아야 할 한 가지 특징은, position 속성은 상속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기 위해 임
display 속성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 속성은: inline, inline-block, blockHTML 요소를 줄바꿈 하지 않고 한 줄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만드는 속성이다.이 속성을 쓰면 기본 block 레벨의 요소도 inline 속성이 된다.즉, bl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