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상 관리 : 코드의 변경 사항(누가, 언제, 어디를)을 추적/통제 하는 것
형상 관리 시스템(Git/SVN)
Git : 대표적 형상 관리 툴로, 프로젝트(소스 코드)를 저장하고,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소
(Repository)
여러 pc에서 작성한 내용을 하나로 병합(merge) 하는 것이 가능함
GitHub : 코드 저장소 Git을 웹으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든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Working Directory -> (git add) -> Staging Area
Working Directory : 내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폴더
Staging Area : Remote Repository 로 파일을 올리기 전, 임시로 올려두는 곳
Git bash 사용
단축키
- shift + insert : 붙여넣기
echo "# 01_webfront" >> README.md : 해당 폴더에 README.md 파일 생성
git init : (master) 브렌치, .git 폴더 생성 -> 이 시점부터 git이 형상관리를 시작함
*git status : git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git add README.md : README.md 파일을 working area에서 staging area로 올림
(git status -> new file : README.md 초록색으로 표현됨)
*git add . : 해당 폴더의 모든 파일을 staging area로 올림
git commit -m "first commmit" :
commit : 하나의 저장 단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 이메일"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 이름"
git branch - m main
git은 처음 저장소 생성 시 master로 브랜치가 설정되어 있는데 이때, github에서는 브 랜치를 main으로 하였기에, 사용하는 브랜치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git remote add <원격 저장소 이름> <http://자기 github 주소>
: 자신의 pc와 github의 원격 저장소를 연결
git push : 원격 저장소로 데이터 저장
git clone : 다른 장치에서 원격 저장소의 내용을 복사
git pull : 원격 저장소의 데이터를 내려받음
처음 위와같이 진행 후 이후부터는
git add . -> git commit -m "<작성 메시지>" -> git push
로 원격 저장소에 데이터를 저장이 가능하고
git pull 로 원격 저장소에서 데이터를 내려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