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OS 를 쓰면서 마주한 React Native 빌드 에러에 대해 정리한다. M1 프로세서를 사용 중인데 이것이 원인 중 하나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아이콘 같은 간단한 이미지를 다룰 때는 PNG 형식보다는 SVG 가 더 좋다. 하지만 React Native 에서는 기본적으로 SVG 파일을 지원하지 않는다.그럼 React Native 에서 SVG 파일을 아이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 및 구현해보자.react-na
최근 웹앱 쪽에서 로그인 인증 토큰을 쿠키로 유지하는 업데이트를 적용했는데, RN 쪽에서 별안간 쿠키가 유지되지 않는 버그가 발견되었다.
React Native 를 활용해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Firebase 의 Authentication 기능을 활용해 구글 로그인을 붙였다. 이전에도 써 본 기능이었기 때문에 별다른 어려움은 없었다. 로컬의 개발 환경에서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프로덕션
한 프로젝트는 여러 환경에서 빌드 혹은 실행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하게는 개발 환경과 운영(production) 환경 두 환경으로 분리할 수 있고, local, dev, stage, test 등을 보다 세분화해서 분리할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여러 환경에 따라 Re
최근 React Native 의 빌드 환경을 옮기면서 마주한 에러들을 간단히 정리한다. Intel 프로세서에서 Apple M1 프로세서로 옮기면서 생긴 에러들이 아닌가 하고 추정하고 있지만, 정확하지는 않다.
React Native 를 웹뷰 컨테이너로 사용해 웹앱을 구현하고 있다.웹뷰를 사용한 하이브리드앱 구현 시 주의해야 할 점 중 하나는 안드로이드 기기의 백버튼(뒤로가기 버튼)에 대한 처리다. ...
코드를 일관성 있는 형식으로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일관성 있는 코드는 가독성을 올려주며, 이는 협업 및 유지보수에 큰 도움을 준다.
사고가 발생했다. 어제 배포한 앱에서 발생한 사고였다. 사용자의 구글 로그인이 실패하는 현상이었다. 확인해보니 구글 로그인 라이브러리 초기화 시 사용하는 토큰 값이 잘못된 값이었다. 해당 값은 환경 변수에 넣어서 관리하고 있었는데, 환경 변수 파일의 최신화가 제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