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지난번 프로그래밍 독학 계획 1편에 이어서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프로그래밍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많이들 코딩 공부를 하려면 수학을 잘해야한다, 수학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라고들 많이 하는데 물론 수학을 잘하고, 잘 활용할 줄 알면 프로그래밍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나는 수학을 못하더라도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는데 큰 방해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기본적으로 컴퓨터 논리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이산 수학, 그리고 나중에 컴공 심화 과목을 할 떄 필요할지도 모르는 선형대수학 이에 대해서 공부해놓는 것은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독학을 한다면 이런 기초과목들을 공부해놓는 게 좋다.
추천 공부 방법으로는 코드잇, 유데미 같은 인강사이트에서 관련 강의를 듣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며, 이론적인 수학 공부보다는 직접 코딩해보면서 활용하며 공부할 수 있는 그런 강좌를 추천하고 싶다.
나중에 프로그래밍 관련 수학 공부 관련글을 올려보도록 하겠다.
코드잇 사이트
유데미 사이트
C++, Java와 같은 객체지향 언어를 활용해보는 것에 익숙해졌다면 이제는 디자인패턴에 대해서 공부해 보자.
디자인 패턴이란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때 특정 맥락에서 자주 발생하는 고질적인 문제들이 또 발생했을 때 재사용할 할 수있는 훌륭한 해결책이며, 이에 대하여 공부해두어야 할 것이다.
참고 https://gmlwjd9405.github.io/2018/07/06/design-pattern.html
관련 유명 도서로는 Head First Design Patterns, Gof의 디자인 패턴 등이 있다.
Head First Design Patterns
GOF의 디자인 패턴
7번까지 과정을 따라온다면 C언어, Java언어, C++언어에 대해서 많이 익숙해진 상태일 것이다. 이제는 이 배운 언어들을 이용해 백준, 프로그래머스와 같은 문제 사이트들에서 난이도가 높은 알고리즘 문제들을 풀어보며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타이밍이다.
게다가 수준급 알고리즘 문제들을 풀 수 있다면, 후에 취업을 준비할 떄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프로그래머로서의 기본 소양은 문제 해결 능력이다.
다양한 문제들을 풀어보며 이 능력을 키워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
이제는 컴퓨터에 대해서 자세히 공부해볼 차례이다.
컴퓨터 공학에서는 필수로 불리는 과목들이고 이를 알아두면 프로그래밍을 할때 꽤나 도움이 될것이다.
이에 대하여 기초만 공부해도 도움이 될것이니, 직접 공부를 해보면 좋을 것 같다.
(후 수정)
여기까지 컴퓨터 공학을 독학, 프로그래밍을 독학하려고 하는 나의 계획을 소개했다.
이 계획을 착실히 수행하여 기초 지식이 단단하고, 프로그래밍 실력이 뛰어난 프로그래머가 되고자 한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