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1.31. (화) - Named Argument, Optional Argument 알아보기

김도익·2023년 1월 31일
0

C#

목록 보기
23/29
post-thumbnail

Named Argument(명명된 인수)

  • 명명된 인수를 사용하면 인수 순서를 호출된 메서드의 매개변수 목록에 있는 매개변수 순서와 일치시키지 않아도 됩니다. 각 매개 변수의 인수는 매개변수 이름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Named Arguments를 사용하면 원하는 값을 함수 내의 해당 이름과 일치시켜 매개 변수에 대한 인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컴파일 오류 발생은?

    • Test에 없는 매개변수를 입력하면 발생합니다.

    • 인수를 잘못 입력하면 발생합니다.

Optional Arguments(선택적 인수)

  • 메서드, 생성자, 인덱서 또는 대리자 정의는 해당 매개 변수가 필수 또는 선택사항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모든 호출은 모든 필수 매개 변수에 대한 인수를 제공해야 하지만 선택적 매개변수에 대한 인수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 각 선택적 매개변수에는 해당 정의의 일부로 기본값이 있습니다.

  • 해당 매개변수에 대한 인수가 전송되지 않으면 기본값이 사용됩니다.

  • 다음 유형의 표현식 중 하나여야 합니다.

    • 상수 표현;

    • 형식의 표현식 new ValType(). 여기서 enum 또는 structValType와 같은 값 유형 입니다.

    • default(ValType) 형식의 표현식입니다. 여기서 ValType는 값 유형입니다.


// Age, Job은 기본 값이 있기 때문에 인수를 주지 않아도 됩니다.


// default값을 주면 int는 0, string은 공백처리 됨을 알 수 있습니다.

  • 필수적으로 인수를 받아야하는 FirstName에 인수를 작성하지 않는다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 타입에 맞지 않은 인수를 작성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 Params를 사용하면 다양하게 내가 원하는만큼 인수를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profile
고급 개발자가 되고 싶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