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프링 생성법과 웹에 창을 띄우는 방법에 대해 배워보았다.

스프링 Controller및 Mapping 애노테이션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다.

회원 예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조를 전체적으로 생각하는 거에 중요성을 깨달았다.
새로운 정률 할인 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구현체를 갈아끼우는 법을 배웠다.

수동, 자동 빈 등록 및 의존 관계 설정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자바 스프링 빈을 컨테이너에 등록하는 방법과 빈 조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순순한 DI 컨테이너가 겪는 문제와 싱글톤으로 이를 해결하는 방법 그리고 싱글톤이 가지는 문제점에 대해 알아 보았다.
스프링 컨테이너가 어떤 원리로 싱글톤을 보장하는지 그리고 싱글톤의 문제점과 주의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끝으로 @Configuration 코드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스프링의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에 대해 알아보았다.

리다이렉션에 대해 알아보자

프록시 객체와 지연로딩을 쉽게 이해해보자

Spring security 내부 초기화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spring security 초기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었습니다.

WebSecurity와 HttpSecurity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DelegatingFilterProxy / FilterChainProxy에 대해 알아보았다.
SecurityConfig 설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FilterChainProxy에 대해 알아 보았다.

formLogin 동작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