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논리적인 작업의 단위보통 단일 SQL문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여러개의 SQL문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다루기도 한다.데이터베이스에서 장애가 일어나는 경우, 데이터를 복구하는 작업의 단위로 사용할 수 있다.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작업이 동시에 같
테이블에 투플을 삽입, 삭제, 수정시 데이터의 일관성이 훼손되는 현상이상현상에는 삭제이상, 삽입이상, 수정이상이 있다.이상현상은 한 개의 일레이션에 두 개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때 나타난다.ex) 학생수강성적 릴레이션의 경우 : 학생정보(학생번호, 학생이름, 주소, 학
강한 개체 타입 매핑강한 개체 타입에 대응하는 릴레이션을 생성한다."일반 속성"은 릴레이션의 "속성"으로 표시"기본키(PK)", "외래키(FK)"로 키를 표시한다.약한 개체 타입 매핑약한 개체 타입에서 생성된 릴레이션은"자신의 키"와 "강한 개체 타입의 키(FK)"를
플라스크로 JWT를 다루는 로그인 예제에서'새로고침시 엑세스 토큰이 만료되면, 리프레시 토큰을 통해 다시 엑세스토큰을 재발급 받고, 그 사이트에 접근'을 구현하는 부분에서 해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SSR방식에서는 @jwt_required()로 감싸서 return r
현실 세계의 복잡한 개념을 단순화하고 추상화시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과정데이터베이스의 생명주기의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설계'의 과정에 해당한다.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범위를 정한다.설계분석된 요구사항을 기초로,
DBMS에 데이터를 정의하고데이터를 CRUD(삽입하고, 읽고, 업데이트하고, 삭제하고)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즉,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프로그램 로직을 프로시저로 구현하여 객체 형태로 사용한다.일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함수"와 비슷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테이블을 생성하고, 투플들을 저장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면,데이터는 어디에, 어떻게 저장될까?1\. SQL작업도구(TOOL)통해 SQL문을 작성하여 실행2\. DBMS에 의해 처리방법이 결정3\. 운영체제(OS)를 통해 작업이 처리된다.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을 합하여 만든 가상의 테이블매번 테이블을 참조하기 위해 "JOIN"이나 "부속질의"를 통해 테이블을 접근한다면 -> 번거롭다이때, 뷰를 생성한다면 가상의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바로 가져올 수 있다.만약 뷰를 사용하지 않고 CRATE TABLE를 통해
subquery하나의 SQL문 안에 다른 SQL문이 중첩된 질의스칼라 부속질의SELECT 절에 위치한다.단일값을 갖는다.인라인 뷰FROM 절에 위치한다.뷰의 형태로 반환한다.중첩질의 : WHEREWHERE 절에 위치한다.동작 방식에 따른 분류상관 부속질의 : 주질의의
상수나 속성 이름을 입력 값으로 받아, 단일 값을 결과로 반환한다.SELECT, WHERE, UPDATE 등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ABS : 절댓값CEIL : 올림FLOOR : 내림ROUND : 반올림LOG : 자연로그POWER : n제곱SQRT : 제곱근SIGN
데이터를 저장하려면, 데이터를 저장할 테이블의 구조가 만들어야 한다.데이터 정의어는 테이블의 구조를 만드는 CREATE, 구조를 변경하는 ALTER, 구조를 삭제하는 DROP가 있따.테이블을 구성하고속성과 속성에 대한 제약을 정의하고기본키 및 외래키를 정의하는 명령이다
1970년대 후반에 개발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언어"자바나 C언어 같은 완전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데이터 부속어"라고 부른다.why? :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문법만 갖고 있기 때문이다.기능에 따라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
mysql -u 계정이름 -p; : MySQL 접속show databases; : 데이터베이스를 보여준다.use 데이터베이스 이름; : 데이터베이스 선택select database(); : 현재 데이터베이스 확인create database; 데이터 베이스 이름 : 데이
관계 데이터 모델은 "릴레이션", "제약조건", "관계대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관계 대수"에 대해 알아본다.코드(Codd)박사는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을 관계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언어로 소개했다.관계대수와 함께 관계 DBMS의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운영체제의 위치운영체제의 정의확장된 기계로서의 운영체제자원 관리자로서의 운영체제정리커널모드(Kernel)모드와 사용자(User)모드에서 운영체제 OS는 커널모드에 위치한다.기계가 실행할 수 있는 어떤 명령도 실행 가능하다.기계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거
관계 데이터 모델 관계 데이터 모델은 "릴레이션", "제약조건", "관계대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약조건"에 대해 알아본다. 제약조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는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일관성을
관계 데이터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릴레이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데이터를 릴레이션으로 표현한다.릴레이션에 대한 "제약조건(constraints)"와 관계 연산을 위한 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를 정의한다.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그림과 같이
인터넷IP주소와 도메인 이름(Domain Name)DNS와 작동원리HTTP브라우저와 작동원리호스팅(hosting): 인터넷은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통해 컴퓨터끼리 통신하는 “글로벌 네트워크”이다.즉,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그물망이라고 할 수 있다.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의 복잡한 구조를 "관점"에 따라 3단계로 표현한다.데이터베이스는 그림과 같이 "외부", "개념", "내부" 단계로 나뉜다.일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래머가 접근하는 계층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가 있을 수 있다.서브 스키마라고도 불리며 뷰(view)의 개념이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 모델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 :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데이터모델 : 눈에 보이지 않는 논리적인 개념, 데이터가 저장되는 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