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가가 생각하는 온라인서비스 vs 오프라인 서비스

태평양돌고래·2022년 10월 9일
0

생각정리

목록 보기
1/2
post-thumbnail

생각하게 된 이유

팀 동료로 데이터 분석가 포지션 채용을 하는데, 온라인 서비스를 분석한 경험이 있으신 분이 보다 적합할 것 같다는 논의가 있었고 JD에 해당 내용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여러 서류를 받아보고 검토하고 생각해 보는데, 온라인 기반 서비스 분석이 아닌 오프라인 기반 서비스 분석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무언가 표현하기 어려운 아쉬움이 느껴졌다.

그것이 무엇 때문인지 생각 해 보다가, 한 번 떠오른 생각을 정리 해 보았다.
아래 내용은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고, 다른 의견이 있다면 그 의견이 더 적절한 의견이라고 생각한다.

온라인 서비스와 오프라인 서비스의 차이

온라인 서비스

온라인 서비스의 데이터 분석은 회원과 Event Log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유저와 이벤트 로그를 볼 수 있었는 지 여부가 가장 큰 차이라고 생각한다.
그 자체보다는 event log를 다루면서 파생되는 여러가지 개념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개념으로는 User segment, CRM, UTM, Funnel, Conversion, Cohort, LTV, AB Test( 이하 ABT ) 등이 있다.

위의 개념들은 데이터 분석 중에서도 Product analyst( PA ) 포지션에서 주로 고민하고 들여다 보는 주제와도 연관된다. 따라서 온라인 서비스 도메인에서 데이터 분석 경험이 있다면 프로덕트 분석가의 색깔이 조금 더 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프라인 서비스

온라인과는 다른 결이 분명한 오프라인 서비스 분석

물론 오프라인 서비스에서만 경험해 볼 수 있는 것들 또한 있다. 실물 자산을 활용한 비즈니스는 수익을 창출하고 유지하는 관점에서 오로지 온라인으로만 서비스되는 환경보다 그 비즈니스 난이도가 훨씬 높다고 생각한다.
인건비, 상권, 각종 비용 등, 온라인 서비스에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될 법한 요소들을 고려한 의사결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오프라인 요소가 있는 도메인에서 데이터 분석 경험이 있다면 Business Analyst( BA )에 더 가까운 색깔을 보일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오프라인은 물리적인 한계로 ABT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매장 분석을 할 때, 매대의 상품 진열 위치를 바꿔가면서 매장 운영을 할 경우, 이는 동시에 진행할 수 없다. 설령 A매장과 B매장의 상품 진열을 바꾸어서 진행한다 하더라도, 매장 자체에서 비롯한 근본적인 매출 차이가 있기에 상품 진열이 바뀐 요인인지 확정짓기 어렵다.

그래서 굳이 유사하게 실험을 한다면 Before-After 실험을 반복적으로 시행함으로써 ABT와 유사한 Lesson-Learned 를 얻는 방법이 있다.

다른 관점에서 생각 해 보자면 운전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인데, 네비게이션 app을 따라서 목적지에 가는 상황에서 동시에 같은 목적지라 하더라도 T맵이 알려주는 길과 카카오네비가 알려준 길이 다르다면, 운전자는 어느 안내를 따라갈 지 결정해야만 한다.

각 서비스가 제시한 각각의 길을 동시에 가 볼 수 없으므로, 선택에 따른 기회비용이 반드시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나와 목적지가 같은 다른 사람이 있어서 T맵과 카카오네비의 안내를 각각 따라간다 하여도, 사용자 경험( e.g., 실제 도착 시간 )이 다른 이유로는 안내되는 길 뿐만 아니라 각자의 운전 성향과 차량 상태 등에 따라서 달라질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은 아쉬움을 뒤로한 채 한 가지의 안내를 선택하고, 다른 안내를 번갈아가며 선택하면서 장기적으로 ABT와 유사한 Lesson-Learned를 얻게 된다.

온라인, 오프라인 둘 다?

O2O( Online to Offline ) 비즈니스라면 온라인 서비스의 다양성과 다이나믹, 그리고 오프라인 서비스의 비즈니스 난이도를 모두 경험할 수 있기에 분석가로서의 성장에는 매우 좋은 도메인이라고 생각한다.

App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에서 Event log를 비롯한 Funnel, ABT 등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고,

실제 오프라인에서 이뤄지는 서비스를 통해 보다 더 비즈니스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경험을 할 기회가 많을 것이다.

O2O 서비스는 의외로 많다.

우리가 흔히 app으로 접하면서 실물로 이용하는 여기어때, 야놀자, 쏘카, 배민 등이 있다. 여기에서도 차이를 느낄 수 있는데, 여기어때와 야놀자의 경우는 예약 이후에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숙박업을 운영하는 업주에게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쏘카는 단순히 이용을 중개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app에서의 고객 여정 뿐만 아니라 회사의 실제 asset을 회원들이 잘, 무사히 이용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매우 중요한 한 축이다.

배민에서의 경험은 없지만, 음식점 사장님과 소비자, 그리고 각각을 연결 해 주는 라이더라는 존재까지 총 3-side에서 데이터가 쏟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게다가 1회 서비스당 3명의 player 모두 각자 추구하는 목표가 다르다 보니, 정말 재미있는 데이터들일 것이라 생각한다.
( 재미있다 == 어렵다 )

그래서, 해 볼 수 있다면 온라인 전문 서비스 보다는 O2O 서비스 도메인이 훨씬 더 재미있을 것 같다. 현재 온라인 서비스 회사에 재직 중에 있지만, 현재 O2O 서비스 출시 중이고, 곧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궤도에 올려놓기 위한 액션들을 취할 예정이라, 재미있는 데이터가 쏟아질 것 같다. 쏟아지기를 바라기도 한다.
( 이번에도 역시, 재미있다 == 어렵다. 그리고, 데이터가 쏟아진다 == 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 제공되는 대부분의 서비스는 app 혹은 모바일 기반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오프라인에서의 서비스 또한 여전하다.
우리는 온라인에 익숙해져있지만, 결국 살아가는 세상은 오프라인 이니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