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git config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였습니다. 이 글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며 내용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시작하기 앞서 "git init"으로 먼저 저장소를 생성했다는 가정하에 진행합니다.
내용을 수정하거나 추가할 경우 변경한 사람이 누구인지 기록하기 위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며 해당 사람에게 연락할 수 있도록 이메일을 입력합니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유저메일
# 명령어로 확인
$ git config -l
# 파일로 확인
$ cat ~/.gitconfig
git에는 기본 에디터로 nano 에디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 이 nano 에디터는 사용하기 매우 어려우며 적응하기에도 많이 불편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많은 개발자 분들이 자신에 맞는 에디터로 변경하고 사용합니다.
vim으로 설정하기
# vim으로 설정하기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
$ git config --global diff.tool vimdiff
vscode로 설정하기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code --wait"
# git diff를 vscode로 설정하기
$ git config --global diff.tool diff-code
$ git config --global difftool.diff-code.cmd 'code --wait --diff $LOCAL $REMOTE'
기본 브런치가 master로 되어 있지만 요즘에 언어 순화로 master보다 main으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 git branch -M main
자주 사용하거나 명령어가 너무 길다고 판단될 경우 alias 등록으로 짧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git status를 st로 짧게 설정
$ git config --global alias.st status
# window 환경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 linux 환경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input
# --unset을 이용하여 기존의 설정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git config --global --unset user.name
# --edit을 이용하여 global 옵션을 전체적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git config --glob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