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하면서 문득 든 생각은 프로젝트를 완료했는데 배포를 못하면 어떻게 하지? 라는 생각이 들었고, 테스트 차원에서 현재까지 작성된 프로젝트를 빌드하여 배포하기 위해 AWS EC2에 도전해봤다. 차근차근 알아가보자.
React + Spring으로 소셜로그인을 구현하면서 발생했던 오류들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자세한 개념들은 더 공부해보고 알려드리겠습니다.
React + Spring 프로젝트를 이용한 소셜로그인 구현하기 입니다. 처음 도전하시는 분들도 한번 참고해서 작성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JWT를 이용하여 로그인 단계에서 토큰을 발급하는 실습을 진행해보자. spring legacy 프로젝트에서 구성한 예제이다.
선택한 지역의 단기예보를 가져오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기상청 단기예보 API를 사용해보았다. 사용하는 방법보다는 사용 후 느낀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이야기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카카오에서 지원하는 DaumPost API를 통해 주소를 검색하고, 선택한 주소를 얻어오는 기능을 구현해보자. React를 통한 구현을 할 예정이다.
React와 Spring Legacy 프로젝트를 연동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알아보자.
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 특정 작업(side effects)을 실행할 수 있는 Hook 중 하나이다. 특정 작업(side effects)은 컴포넌트가 렌더링 된 이후 비동기로 처리되어야 하는 부수적인 효과들을 뜻한다.
동적이고 유연한 리액트 컴포넌트 사용을 위하여 필수적인 props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알아보고, 어떻게 사용되며 어떤 규칙들을 준수해야하는지 알아보자.
React에서 props와 함께 가장 중요한 개념이 되는 state에 대해서 알아보자. 컴포넌트 내부에 정의되어 일반적인 JavaScript의 객체를 담을 수 있는 변수이자 JSX에 변수로 사용되는 객체이다.
리액트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선언적이고 효율적이며 유연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 재사용성과 생산성이 높은 라이브러리인 리액트를 이용하기 위한 기초를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