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스터디 3주차. 객체와 함수

자몽·2022년 5월 13일
1

JavaScript

목록 보기
25/25

객체

이름(name)과 값(value)으로 구성된 프로퍼티(property)의 정렬되지 않은 집합
(http://www.tcpschool.com/javascript/js_object_concept)

자바스크립트 타입에는 총 크게 2가지 타입이 있다.
원시 타입, 객체 타입

객체 타입은 변경 가능한 값을 말한다.
즉,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참조 값이 저장된다.(참조에 의한 전달)

객체의 형태

const person = {
  name: 'jamong', // 
  introduce: function(){
    return `my name is ${this.name}`;
}

여기서 key: value 쌍을 프로퍼티라고 하고,
value가 함수일 때, 해당 함수를 메서드라고 한다.

객체의 생성

객체는 총 3가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1. Object() 객체 생성자 함수
const person = new Object();
  1. 객체 리터럴 사용
const person = {
  name: 'jamong', // 
  introduce: function(){
    return `my name is ${this.name}`;
}
  1.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this.name=name;
  this.introduce = function(){return `my name is ${this.name}`}
}
const person = new Person('jamong');

1,2번 방법은 주로 단일 객체를 생성할 때 사용하고,
3번 방법은 공통된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객체들을 여러 개 만들 때 사용한다.

객체의 접근

객체는 점 표기법과 괄호 표기법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console.log(person.name) // 'jamong'
console.log(person['name']) // 'jamong'

함수

큰 프로그램을 잘게 쪼개어 특정 코드 뭉치를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묶어놓은 코드 뭉치의 단위(https://helloworldjavascript.net/pages/170-function.html)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1. 실행 시점을 개발자가 결정 가능
2. 코드의 재사용 가능
3. 유지보수의 편의성
4. 코드의 가독성 향상

함수와 관련된 기본 용어들

  • Parameter(매개변수): 함수 혹은 메서드를 선언(declare)할 때 정의되는 변수
  • Argument(인자, 인수): 함수또는 메서드를 호출(call)할 때 함수의 매개변수로 전달하는 값

함수 정의 방법

함수는 4가지로 만들 수 있다.

함수 선언문

바로 선언한 함수

function sum(a,b){
  return a+b;
}```

#### 함수 표현식
변수에 할당시킨 함수
```js
const sum = function(a,b){
  return a+b;
}

Function 생성자 함수

잘 쓰이진 않지만, Function 생성자로 만들어진 함수

const sum = new Function('a','b','return a+b')

화살표 함수

함수를 간략하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함수

// 방법 1(return 생략 가능)
const sum = () => a+b;
// 방법 2
const sum = () => {
  return a+b;
}
  • 추가

즉시 실행 함수

스코프를 만들어주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즉시 실행 함수(실행 횟수 1번)

(function(){
  ...
}())

함수 호이스팅

호이스팅
모든 선언문이 맨 위로 끌어올리진 것처럼 동작하는 것

함수의 경우 호이스팅은 함수 선언문에서만 발생한다.

console.log(sum1(1,2)) // 3
console.log(sum2(1,2)) // error: sum 2 is not defined


function sum1(a,b){
  return a+b;
}
const sum2 = function(a,b){
  return a+b;
}

일반적인 함수 표현식은 호이스팅이 함수가 아닌 할당된 변수에서 일어난다.

함수와 this

this 바인딩은 일반 함수 호출, 메서드 호출, 생성자 함수 호출, apply/call/bind 메서드에 의한 호출 4가지에 의해 달라진다.

this가 필요한 이유
메서드가 자신이 속한 객체의 프로퍼티를 참조하기 위해선, 자신이 속한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참조할 수 있어야함.
=> this: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

this가 가리키는 값은 함수 호출 방식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된다.

일반 함수 호출 & 기본 상태

기본적으로 this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됨.

console.log(this); // => window

일반 함수에서도 this에는 전역 객체가 바인딩된다.

function Info(name){
  console.log(this); // => window
  return name;
}

메서드 호출

메서드 내부의 this는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를 가리킨다. (여기서는 Info 객체)

const Info = {
  name: 'Jamong';
  getName(){
    console.log(this); // => {name: 'Jamong', getName: f}
  }
}

생성자 함수

생성자 함수 내부에서의 this는 생성자 함수가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function Info(name,age){
  this.name = name;
  this.age = age;
  console.log(this); // Info {name: 'jamong',age: 23}
}
const jamong = new Info('jamong',23);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는 스스로의 this와 argument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화살표 함수 내부에서의 this는 함수가 정의된 스코프에 존재하는 this를 가리킨다.

let country = {
  name: 'korea',
  cities: ["Seoul", "Busan", "Namyangju"],

  showList() {
    this.cities.forEach(
      city => console.log(this.name + ': ' + city)
    );
  }
};

country.showList();
  • this.cirites.forEach()에서의 this는 메서드 내부의 this이므로,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를 가리킨다.(country)

  • city => console.log(this.name ...)에서의 this는 화살표 함수 내부의 this로, 화살표 함수는 스스로의 this를 가지지 않아 메서드 내부의 this로 판별된다.(country)

즉, 화살표 함수 내부의 this는 바로 바깥쪽 스코프의 this와 동일한 객체를 가리킨다.

순수 함수

순수 함수
side effect가 없는 함수
side-effect: 외부 상태에 의존하거나 외부 상태를 변경하는 상태

let name = 'jamong';

// 외부 상태를 변경시킴
function changeToA(){
  name = 'A';
  return name;
}

// 외부 상태를 변경시키지 않음
function changeToA(name){
  name = 'A';
  return name;
}

함수형 프로그래밍
자료처리를 수학적 함수의 계산으로 취급하고 상태와 가변 데이터를 멀리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https://jongminfire.dev/함수형-프로그래밍이란)
특징으로는 순수함수, 1급 객체와 고차함수가 있음

prototype, constructor

함수를 정의하면 prototype 객체가 정의되고, 그 객체의 맴버는 constructor 속성을 가진다.

Prototype

프로토타입은 JS에서 상속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이다.
함수를 정의하면 함께 정의됨

Constructor

프로토타입 객체를 생성했던 함수에 대한 참조를 나타냄.

생성자 함수와 프로토타입

지금까지 봤던 생성자 함수는 이렇게 생겼다.

function Person(name){
  this.name=name;
  this.introduce = function(){
    return `my name is ${this.name}`
  }
}
const person = new Person('jamong');

만약, 이 생성자 함수를 통해 여러 개의 인스턴스를 만들면? name과 introduce는 인스턴스의 개수만큼 새로 생성되게 된다.

우리가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중복을 피하기 위함인데, 생성자 함수 내부에 정의되어있는 메서드인 introduce는 계속해서 생성되는 불필요한 과정을 겪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사용한다.

function Person(name){
  this.name=name;
  this.prototype.introduce = function(){
    return `my name is ${this.name}`
  }
}
const person1 = new Person('jamong');
const person2 = new Person('oseung');

이렇게 프로토타입을 사용하면, introduce를 Person의 인스턴스인 person1과 person2에서 상속받아 사용하기때문에, 생성 횟수를 1로 줄일 수 있다.

profile
꾸준하게 공부하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