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선택자 not 선택자는 *(univeral selector, 모든것을 선택)와 반대되는 성격을 가진다고 할 수도 있겠다. 일종의 예외를 정의하는 selector 이다. 예시를 살펴보자. css를 보면 client 클래스에 border가 적용되어있다. 그런데 border-top 과 border-bottom 이 겹치기 때문에 border-bottom을 없앰으로써 일정하게 유지하고 싶다. 이때 nth-child() 를 써서 일일이 다 적용해도 되지만 개발자는 반복을 싫어하는 걸 넘어서 혐오한다. 그래서 한번에 모든 client 클래스에 적용된 border-bottom을 없애고 싶다. 그러나 마지막 client cell의 border-bottom은 남겨놔야한다. 그때 not 선택자를 쓴다. not() 괄호 안에 있는 것만 제외하고 다 적용하라는 뜻이다. 그때 .client:not(:last-child) {code} 라고 하면 "client 클래스의
1. 논문 검사 주어진 array는 각각의 논문이 얼만큼 언급되어있는지 알려주고 있다. 이때 h편 이상 언급된 논문이 h편이상일때 h를 h-index라고 한다. 이때 h-index의 최대값을 구하라. 예를 들어서 array = [0,3,1,5,6] 일때 h-index는 3이다. 5는 안된다 왜냐면 5편이상 언급된 논문이 2개밖에 없기 때문이다. 2. 접근 방법 h를 0부터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citations의 index로 설정한다. h편이상 언급된 논문(citations[h])이 h와 같으면 answer에 담고 h이상이면 h를 늘리고 이하이면 break해서 빠져나간다. 만약 위와 같은 arr가 주어졌을때 진행과정은 아래와 같다. 코드에 문제는 없는데 테스트케이스도 통과했는데 최종 점검에서 다 떨어졌다 ㅋㅋㅋㅋㅋ 그래서 다른 사람들 코드를 살펴보았다.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일단 citations을 내림차순 정렬한다. 그런 다음 가장 많이 언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