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포넌트의 라이프사이클 & Hooks (3)

Jihoon Yoo·2023년 2월 21일
0

React

목록 보기
3/3
post-thumbnail

🥲 자 드가자~

아주 오랜 시간 전 컴포넌트의 라이프사이클과 Hooks 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때 내가 빼먹은 것들이 있었는데 그걸 미뤘다기 보다는 다른 개념들을 공부하느라 시간이 걸려서 이제서야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useContext, useMemo, useCallback, memo 를 다뤄보려고 하는데 음… 길면 또 짤릴 수도 있다.
그리고 이번 글에서 다루는 useMemo, useCallback 의 경우에는 다양한 글들이 있었고 고려할 부분이 한 두개가 아니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글에서 틀리거나 깊은 활용법에 대한 내용이 없을 수 있다.
그점 양해 부탁드리면서 useContext 부터 들어가보려 한다.

😎 useContext

왜 useContext?

일단 이 친구가 왜 필요할까?
우리는 컴포넌트를 만들면서 하위 자식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아래로 props 를 통해서 내려준다.
하지만 그것도 조금 귀찮아 질 수 있는 것이 여러 자식이 생기고 만약 맨 아래 자식에게만 정보가 필요하다면 중간에 있는 자식들에게도 계속 내려줘야 하는 것이다.
또 자식으로 있는 컴포넌트가 아닌데 정보를 주려면 상위 컴포넌트에 state 를 두어야 하는 귀찮음도 생긴다.

아니 이럴바에는 전역으로 그냥 퉁 하나 쓰면 안되나? 라는 생각을 적용한게 바로 useContext 이다.

어떻게 되어있는 구조인가?

어떻게 전역적으로 state 를 제공할까?

한 번쯤 들어봤을 옵저버 패턴을 사용한다.
옵저버 패턴이란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관찰자들의 목록을 객체에 등록하여
상태변화가 있을 때마다 메서드 등을 통해 객체가 직접 목록의 각 옵저버들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React 에서는 Context 를 사용해서 관찰자 패턴을 제공한다.
아래는 해당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출처: ReactJS DoIt 리액트 프로그래밍 정석 (6장) :: 메모장)

어떻게 사용할까?

위에 있는 그림을 통해서 나온 그림을 통해서 유추가 약간은 가능한데
결국 공급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고, 소비자가 있어야 할 것이며, 어느 범위까지 공급을 해야 할지도 알려줘야 할 것이다.

import { useState, createContext } from 'react';
import Children from "./Children";

// 아래 두 코드는 공급해줄 아이템들을 만드는 과정이다.
// createContext 를 사용해서 생성하며 내부로는 초기값을 전달해준다.
export const AppContext = createContext('');
export const SetAppContext = createContext(() => {});

const App = () => {
	// 우리가 공급해줄 값을 정적으로 'test' 라고 넣어줘도 좋으나
	// 우리가 하위 컴포넌트에서 수정을 하고 싶으면? 이라는 생각에
	// state 값을 넣는 예제를 적었다.
	const [app, setApp] = useState('test');
	
	// 아래와 같이 하위 컴포넌트들에 공급할거에요~ 라는 표현으로
	// context 의 provider 를 이용해서 감싸준다.
	// 이때 value 로 넣어주는 값이 해당 context 가 제공하는 값이 된다.
	return (
		<SetAppContext.Provider value={setApp}>
			<AppContext.Provider value={app}>
				<Children />
			</AppContext.Provider>
		</SetAppContext.Provider>
	);
}

위 예제 코드는 createContext 를 활용해서 하위 컴포넌트인 Children 에게 전역 state 를 제공하는 코드이다.

크게 두 개의 createContext 를 사용했는데 하나는 단순하게 값을 위해서 만든 것이며, 다른 하나는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함수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서 하위 컴포넌트에서 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었다.

위 코드는 아래와 같이 수정할 수 있다.

export const AppContext = createContext({
	state: '',
	action: () => {},
})

// 생략

const value = {
	state: app,
	action: setApp,
}

return (
	<AppContext.Provider value={value}>
	</AppContext.Provider>
)

우리는 지금까지 어떻게 공급해주느냐, 공급자 입장을 보았다.
그러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떻게 사용하면 될끼?
이는 아래와 같다. 참고로 아래 코드는 위 코드로 수정했다는 전재로 작성했다.

import { useContext } from 'react';
import { AppContext } from './App';

const Children = () => {
	const { state, action } = useContext(AppContext);
	return (
		<div>
			<p>{state}</p>
			<button type='button' onClick={() => action('click')} />
		</div>
	);
}

useContext 글인데 언제 나오나 하신 분들이 있을 것이다.
useContext 는 바로 여기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된다.
기존에는 context 의 consumer 를 사용해서 감싸줘야 하는데 이 과정을 위와 같이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상위에서 하위로, 혹은 전역으로 이동하면서 props 를 이용해서 전달하던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다.

그런데 다들 왜 Redux, Recoil 을 사용하는 것이죠?

그 이유를 모두 찾아본 것은 아니나, 리렌더링에 관한 이슈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Provider 하위에서 context 를 구독하는 모든 컴포넌트 및 하위 컴포넌트는 Provider 의 value props 가 바뀔 때 마다 다시 렌더링 된다.

자주 사용하는 Recoil 의 경우에도 그럴까? 결과는 아니다.
아래 레퍼런스를 보면 해당 과정을 확인해볼 수 있다.
TILReact 상태관리 고민 (Context, Recoil)

또한 Recoil 이나 Redux 는 다른 장점들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최근 시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 useMemo

useMemo 의 경우 말 그대로 계산된 값을 저장한다는 의미입니다.
아니 useState 도 값을 들고 있는 것 아닌가?

useMemo 를 어떠한 때에 사용하는지를 살펴보면 아 그렇구나 할 수 있다.
아래 코드를 봐보자

const component = ({x, y}) => {
	const result = slowCompute(x, y);
	return <div>{z}</div>;
}

위 컴포넌트의 result 값을 받는 부분을 봐보자
이게 일반적인 컴포넌트면 어떨끼? 매번 slowCompute 라는 느린 함수(제가 설정했습니다.) 가 돌 것이다.
설령 x, y 가 변경된게 아니더라도 부모가 리렌더링 되면 자식도 리렌더링 되기 때문이다.

이를 아래와 같이 useMemo 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다.

import { useMemo } from 'react';

const component = ({x, y}) => {
	const result = useMemo(() => slowCompute(x, y), [x, y]);
	return <div>{z}</div>;
}

위 코드는 useMemo 를 통해서 값을 저장한 것이다.
어떤 값이면 당연히 x, y 를 함수에 넣었을 때 결과이다. 이렇게 하면 뭐가 좋은 것인가?

useMeme 는 두 번째 인자로 넣어준 배열이 바뀌기 전까지는 이전의 값을 그대로 들고 있는다.
이 말은 부모가 리렌더링 되는 경우에 자식 컴포넌트 측에서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아껴진다는 것이다.(물론 x, y 값은 변경된게 아니라고 가정한다.)

근데 자주 안쓸 것 같은 느낌은 뭐죠…?

등가교환이라는 강철의 연금술사 명언 마냥 이것도 마술은 아니다.
분명히 저 함수에 걸리는 시간을 아껴서 메모리를 더 차지했을 것이다.
또한 우리가 프론트엔드 작업을 떠올리면 수초, 수십초가 걸리는 작업이 많을 것인가?
그거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설령 그런 것이 있다 하더라도 비동기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쓸모없는 것을 배웠냐? 그건 아니다.
확실히 useMemo 는 리렌더링이 잦은 자식 컴포넌트가 시간이 긴 작업을 들고 있는 경우에 좋다. 하지만 위에서 말한 내용은 그런 상황이 잘 안나온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래에서 살펴볼 memo 를 확인하고 아 이렇게?!? 라는 생각이 들 수 있을 것이다.

useCallback

useCallback 은 useMemo 와 비슷한 Hook 이다.
useMemo 는 특정 결과값을 재사용 할 때 사용하는 반면, useCallback 은 특정 함수를 새로 만들지 않고 재사용하고 싶을때 사용한다.

이 또한 memo 와 사용할 때 본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데 일단은 어떻게 쓰는지만 빠르게 살펴보고 memo 를 살펴보자

import { useCallback, useState } from 'react';
import Profile from './Profile';

function App() {
  const [name, setName] = useState('');
	const [profile, setProfile] = useState('JiHoon Yoo');
	//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 useMemo 와 유사하게, 저장할 함수, 변경을 감지할 변수 배열
	// 이렇게 사용하며 제공한 변수의 값이 바뀌지 않는 이상 저장된 값을 사용한다.
  const onSave = useCallback(() => {
    console.log(profile);
  }, [profile]);

  return (
    <div className="App">
      <input
        type="text"
        value={name}
        onChange={(e) => setName(e.target.value)}
      />
      <Profile data={profile} />
    </div>
  );
}

위 코드에서 대략적인 useCallback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다.
함수를 저장해서 재사용한다, 의존성 배열 안에 있는 변수의 변경이 아니면 그대로 재사용한다, 라는 개념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위 함수에서 Profile 컴포넌트는 리렌더링이 안일어나는가?
그거는 아니다. 우리는 리렌더링이 일어나는 여러 과정을 알고 있다.

  1. 부모의 리렌더링
  2. props 의 변경
  3. state 의 변경
  4. forceUpdate

대략 이렇게 4가지다.
우리가 처리한 useCallback 작업은 props 의 변경을 막은거다.
하지만 부모의 state 변경으로 인한 부모의 리렌더링을 막은 것은 아니다.
이럴 어찌해야 한담…

🧺 memo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React 의 memo 이다.
memo 는 컴포넌트의 props 가 바뀌지 않았다면 리렌더링을 방지하여 컴포넌트의 리렌더링 성능 최적화를 해줄 수 있다.

이거를 이용하기 위해서 앞에서 두 개를 봤다 하더라도 과언이 아닌데 생각을 해보면 함수를 재생성하면 당연히 해당 객체의 레퍼런스가 바뀔 것이고, 메모의 경우도 바뀔 것이다.
이는 동일한 값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동일할 것이다.
우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useMemo 와 useCallback 을 배운 것이다.
그리고 이를 활용해서 이제 memo 를 통해서 부모의 리렌더링이 일어나더라도 props 가 안바뀌었을 경우 리렌더링을 막을 수 있게 될 것이다.

import React from 'react';

const Profile = ({ data }) => {
  return (
    <div>
		<p>{data}</p>
    </div>
  );
};

export default React.memo(Profile);

사용법은 위와 같이 간단하다.
export 를 해주기 전에 React.memo 함수를 이용해서 감싸주면 된다.
이렇게 감싸줄 경우 이 Profile 컴포넌트의 경우는 data 라는 props 가 변경되는 것이 아니면 리렌더링이 안 일어날 것이다.

추가적으로 React.memo 의 두 번째 파라미터를 잠깐 알아보고 넘어가자면
이 props 가 동일하다 라는 조건을 좀 더 디테일하게 설정을 할 수 있다.

export default React.memo(
  Test,
  (prevProps, nextProps) => prevProps.data === nextProps.data
);

위와 같이 두 번째 파라미터로 조건을 넣어주면 해당 조건을 통해서 리렌더링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별해준다.
하지만 이는 그렇게까지 권장되는 것은 아닌게 만약 props 로 받는 것이 data 뿐만 아니라 다른 것 들도 존재한다면 해당 값들이 변경되었을 경우 실시간으로 값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신경을 써서 사용하길 추천한다.

그러면 모두 다 그냥 memo 박아버려?

이거는 조금 비효율 적인 발상인게
일단 우리는 이 useMemo, useCallback, memo 를 배운 이유는 컴포넌트의 리렌더링을 막기 위해서이다.
그러면 애초에 이 처리를 해주는 친구들은 리렌더링이 불필요하게 많거나 그럴 필요가 없는 친구들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개발을 하면서 보통 props 를 받으면 해당 값의 변화로 인해서 DOM 혹은 return 하는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은데 memo 를 모두 처리한다는 것은 앞뒤가 안 맞는 느낌이다.

오히려 memo, useCallback, useMemo 를 남용하면 불필요한 비교처리, 저장하는 메모리 낭비 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꼭 필요할 때만, 리렌더링을 꼭 막고 싶을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이 맞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좋은 자료가 있어 아래 링크를 남겨두었다.
리액트의 useCallback useMemo, 정확하게 사용하고 있을까 – yceffort

🥳 마무리하며

React 의 렌더링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 중 하나인 메모이제이션에 관련된 Hook 들을 이번에 살펴보았다.
이전에 프로젝트를 하면서도 대략적으로 조심조심 사용했던 개념들을 이제는 나름은 조금 알게 된 것 같아서 보람차다.
하지만 맨 아레에 링크로 남긴 자료를 보면서 어떻게 써야 잘 쓰는 것인가에 대한 생각은 약간 부족한 것 같다.
이는 실전에서 많이 사용해보고 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그리고 나름은 길었던 Hooks 살펴보기 과정이 끝났는데 뭔가 끝난 것 같지는 않다.
더 글을 쓸 것이 있을 것이라 보고 궁금하거나 살펴봐야 할 내용이 생기면 글을 또 쓰게 될 것 같다 하하…

이번에도 두서없이 긴 글 읽어주신 분들께 감사인사를 드린다.

profile
기본은 하는 개발자로 성장하자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