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e_false.js

AceBed·2021년 12월 31일
0

if 조건문

boolean 값이 true일 경우와 false일 경우를 각각 처리하고 싶을때 사용한다.

if(1>2) {
  console.log('참');
} // 실제로 실행이 안된다. false값이 반환 되었기 때문!
// if(1>2)가 'true' 일때만 (중요!) 코드블럭 안의 내용이 실행된다.

if(1<2) {
  console.log('참');
} // 참;

/* else : false 일때만 실행하겠다. */
if(1<2) {
  console.log('참');
} else {
  console.log('거짓');
} // 참;

if(1>2) {
  console.log('참');
} else {
  console.log('거짓');
} // 거짓;

let 곽인구 = 180;
let 김윤재 = 178;

if(곽인구<김윤재) {
  console.log('참');
} else {
  console.log('거짓');
} // 거짓;
  • else
    if문에서 true일때가 아닌 false일때 실행할 내용

for 반복문

조건을 정해서 조건을 달성할때까지 코드내용이 반복된다.

작성법

for(초기문; 조건문; 증감문) {
}
/* for문 조건을 만족 할때까지 아래까지 읽었다가 다시 위에서 아래까지 읽었다가 를 반복한다. */
for(let i=0; i<6; i++) {
  console.log(i)
} // 1 2 3 4 5

for(let i=0; i<10; i++) {
  console.log('hello world'+i)
} // hello world1, hello world2, . . . . . . hello world9, hello world10
  • let i=0;
    초기문에 반복될 i를 let으로 지정해줬다.
  • i++
    i값을 1씩 증가시키겠다는 뜻이다.
  • 'hello world' + i
    연산자 +가 들어갔지만, 'hello world'가 문자열로 쓰였기 때문에, +는 연결연산자가 된다. 따라서 반복되는 i가 문자열로 읽혀 hello world와 연결된다.

function 함수

특정 역할을 동일시하여 수행할때 쓴다.
함수를 정의하고, 정의된 함수가 사용(호출)되면, 코드브럭 안의 내용을 실행한다.
코드블럭 : function { } 중괄호 내부를 코드블럭 이라고 한다.
함수의 기능으로 parameter(인자 or 매개변수), return을 사용한다.

작성법

/* 예약자, 함수명(함수이름), 인자(parameter), 코드블럭 */
function func() {
}
function yoon() {
  console.log('hello world!')
} // 아무고토 실행이 되지 않는다.

console.log(yoon()); // yoon이라는 함수를 console.log로 보여준다.
// hello world!

parameter

parameter안에 들어갈 내용을 소괄호 안에 넣는다. (parameter) 부분
이때 파라미터에 들어간 '인자값' 들이 login 함수로 들어가 실행되게 된다.
인자(name), 인자값('yoonjae', 'kiweb')

function login(name) {
  console.log(name + '님 환영합니다')
}

/*  login함수에 yoonjae, kiweb 인자값을 각각 넣은 결과값 */
login('yoonjae') // yoonjae님 환영합니다
login('kiweb') // kiweb님 환영합니다

return

함수 안에 있는 내용을 밖에서 사용하고 싶을때 사용한다.
즉, 함수의 결과물을 '반환' 하기 위해 사용한다.

function logout(name) {
  let result = name + '님 환영합니다';
  return result; // result 라는 변수에는 '~~님 환영합니다'가 저장된다. *반환
}
// return을 만나면 함수는 그 자리에서 종료된다. ({ } 코드블록 안의 내용)
// return에는 변수가 들어가든 데이터값이 들어가든 상관이 없다.

위의 코드에서 result는 name + '님 환영합니다' 라는 값이 저장만 되었을 뿐이라서, console.log(result)로 확인이 안된다.

/* logout 함수에 매개변수 YOON을 넣는다. */
logout('YOON') // 얘가 , 이 결과물이 result값을 반환한다.
console.log(logout('YOON')); // result값을 console.log로 확인 가능하다.
// YOON님 환영합니다.

/* 변수선언으로도 result값을 반환할 수 있다. */
let text = logout('KIMS') // 이미 logout('KIMS')는 ~~님 환영합니다 라는 문자열로 치환되어있다.
console.log(text); // text 변수에 대입된 logout('KIMS')을 콘솔로 확인.
// KIMS님 환영합니다.

리턴예제

1~10까지 console.log로 출력하되, 3의 배수일때 마다 hello world를 출력.

/* hello라는 함수에 res리턴값 저장. */
function division() {
  let res = "hello world";
  return res;
}

/* 문자열 hello world가 리턴값 res에 저장된 division함수를 불러왔다.*/
for (let i=1; i<11; i++) {
  if( (1%3) == 0 ) {
    console.log(division());
  } else {
    console.log(i)
  }
}
profile
재시작, restart, リスタート, sự khởi động lại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