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
선형대수 용어/개념 짧은 정리(-ing)
스칼라 : 크기 표현 단일 숫자 벡터 : n개 원소 가진 순서有 모음 > \- norm(magnitude, length) : |v|, ||v||, 벡터 길이 > \- 내적(inner product) : $\sum$(길이 같은 벡터의 같은 위치의 원소끼리 곱) \- 벡터의 직교 = 내적 결과 0 \- 단위 벡터 = $\frac{v}{|v|}$, 길이 1인...
Na, Null, NaN, Undefined
NA(Not Available) : 결측값, does not exist, missing Null(None in python) : '값이 없다', '비어 있다', 'empty object' with 의도有 NaN(Not a Number) : 숫자가 아니다 Undefined : '값이 없음' with 의도無
가설 검정에서의 1종 오류와 2종 오류
1종 오류(상황) > 귀무가설 참일 때(in 실제) 이를 기각하는 오류(by test) * False Positive * / False alarm P(reject H$0$|H$0$ is true) = 유의수준 $\alpha$(확률) 2종 오류(상황) > 귀무가설 거짓일 때(in 실제) 이를 기각하지 못하는 오류(by test) P(not to rejec...
EDA, Feature Engineering, Data Preprocessing
EDA, Feature Engineering,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클렌징, 데이터 클리닝,,,
.png?w=768)
7day.noah.algo 동적계획법(DP)
오늘은 프로그래머스 동적계획법 알고리즘테스트에 있는 N으로 표현 문제를 풀려고 하였으나, 모든 블로그를 찾아보고 코드를 보아도 해석이 안되어서 동적계획법 개념이 어떤건지 이해가 우선이 되어야 하겠다는 생각으로 동적계획법 개념을 정리하였습니다.출저 : https: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
프로그래밍 언어는 인간의 언어에 가까워지고 있다.사람이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에 가까운 방법론무언가를 깊이 알려고 하는 사람은 드물다.그러나 그 무언가를 사용해야할 때는 많다. i.g. 운전, 스마트폰 등단순 반복은 귀찮아 → 템플릿화사용이 가능한 최소한의 정보로 압축.
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문제를 여러 개의 객체 단위로 나눠 작업하는 방식으로, 객체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프로그래밍 이론이다.대표적으로 Java와 C++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객체 :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것, 프로그래밍에서의 객체는 데이
[DB]Domain, Data Dictionary
Domain 이란 엔티티의 속성들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집합으로, 관계형 이론에서 도메인은 실제로는 구현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DBMS에서 도메인이란 속성에 대응하는 컬럼에 대한 데이터 타입(Data Type)과 길이를 의미한다.두 속성의 도메인이 같다라는 것은

HTTP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HTTP는 인터넷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통신 규약이다.HTML 문서, 이미지, 동영상과 같은 자원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Node.js - Express & Docker에서 실행해보기
Node.js란?오픈소스, 크로스 플랫폼.JavaScrpit는 기본적으로 브라우저에서 돌아간다. Node.js는 개발자가 브라우저가 아니라 외부에서 모든 종류의 서버 사이드 도구들과 어플리케이션을 JavaScript로 만들수 있도록 해주는 런타임 환경이다.
Servlet(서블릿)
Servlet이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javax.servlet.Servlet 인터페이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구현체이자,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이다.일반적인 자바 독립 실행프로그램과 달리 main 메서드가 없으며, 서블릿 컨테이너에 등록된
Spring MVC 구조
스프링 MVC는 Model2 방식을 따르며 이 Model2의 아키텍처에 맞게 설계되어 있다. 스프링에서는 유저의 요청을 받는 DispathcerServlet이 핵심이다.

MVC, MVC2 패턴
MVC 패턴은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램이나 어떤 특정한 것을 개발하는 중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정리해서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적용해서 쓸 수 있는 것을 정리하여 특정한 "규약"을 통해 쉽게 쓸 수 있는 형태로 만든 것을 말한다.

하루5분코딩"Branch"
새로운 기능을 개발할때 원본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다양한 시도를 하고 싶을때 주로 사용된다.✓브랜치는 현재 작업공간을 베이스로 만들기 때문에 내가 어느 브랜치에 있는지 확인을 해야한다.$ git checkout <브랜치 이름>작업 하던 공간이 원본에서 브랜치1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