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협업

[스토어링크 기업 협업] Why? Vue + Firebase
스토어링크는 Vue + firebase 조합으로 개발을 하고 있다. 우선 첫째로 강력한 이유는 스타트업 케이스에서의 CTO님의 개발 추구 스타일인 것 같다.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 중 가장 쉽고 러닝 커브가 낮다는 Vue를 선택하여 빠르게 프론트 단을 완성하고 구글에서

Wecode | 기업 인턴십 후기
회사 소개 : 집현전 이라는 자사 Prop-tech 서비스를 통하여 빅데이터 기반 주거 목적의 부동산을 소비자에게 연결해주는 플랫폼 스타트업Prop-tech란? AI와 Big Data 등 신산업 기술과 부동산의 융합된 새로운 기술 분야위티는 자사서비스도 운영하면서 SI

WeCode 기업협업 후기 (작성중)
위코드 부트캠프 3개월차, 기업협업 인턴쉽에 참여하게 되었다. 🏙 Uiti 
Wecode] 기업협업 회고록(11/16 ~ 12/10)
모두의 셀러 Partners는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공동 구매 이벤트 생성 및 관리를 위한 Partners 웹페이지입니다. 80% 정도 React로 개발이 완료된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하였으며 Frontend 추가 기능 구현 및 Debugging 작업을 마무리하고 A

브랜디 인턴십 후기 - 기업협업
위코드 3개월차 마지막 기업협업을 브랜디에서 진행한 뒤늦은 후기..!원래는 기업협업 자체를 가지 않고 위코드에 남아 3차 프로젝트를 하거나 공부를 좀 더 해볼 생각이였다. 그런데 프로젝트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도 없었고, 마지막 3개월차 과정동안 어떠한 것들을 공부해야

[Django]개인정보 암호화
드디어 기업협업을 시 위코드에서 1,2차 프로젝트를 할 때는 유저의 아이디, 비밀번호, 닉네임 정보만 필요했고, 그 중에서도 유저의 비밀번호만 '해쉬함수'를 사용해서 암호화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했다. 그런데 이번 기업협업

We.TIL 번외 : 브랜디 기업협업 2주경과, 짧은 후기
보이는게 다가 아니다. 생각보다 실제 돌아가는 웹사이트의 데이터모델링 구조는 매우 복잡하다.심지어 전체기능이 아닌 일부기능만 구현했는데도 정말 복잡했고, 기존에 위코드프로젝트에서 하루~이틀이면 끝났던 웹사이트 모델링이 일주일이나 걸렸다.아 그리고 ManytoMany로
어니언스 기업협업 후기
본인이 작업한 사항들에 대해서 보고하고 시연 프로젝트 기간동안 자신이 소스를 분석하거나, React Native 관련 기술에 대해 스터디한 내용을 공유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배운 것, 어려웠던 점 기타 느낀 점, 하고 싶은 말 ✅프로젝트 소개 📹데모영상 📚사용기

wecode) 4주간의 기업협업 후기 [부제: React-Native의 전사]
위코드의 꽃 🌸인 기업협업은 위코드에 등록할 때부터 굉장히 기대되는 과정이었다. 매 기수마다 기업협업에 나가거나, 팀 프로젝트를 하거나 비율은 매번 달라지지만 우리 기수는 대다수가 기업협업을 나갔고 결과적으로 각자 충실하고도 배움으로 꽉찬 4주를 보냈을거라고 생각한다
API load-order
api참고 http://172.30.1.51:7000/doc/swagger/ 사진 https://console.aws.amazon.com/s3/buckets/1wecodereact/?region=ap-northeast-2&tab=overview API load-ord
Donuts 기업협업 후기
지금까지 진행하던 공지사항, 약관동의를 마무리하고 마지막 4주차에는 퍼블리싱 작업만 했기 때문에 19일차 TIL 이후에 바로 후기를 작성해보려 한다! 프로젝트 소개 기간 : 2020.03.23 ~ 2020.04.17 (4주) 멤버 : 프론트엔드 4명와 백엔드 인턴
We_pizza README.md🍕🍟
Introduction GOPIZZA 구성원의 동기부여를 위한 리워드보드 제작 프로젝트 기간 : 20.03.23 - 20.04.17 구성 : 프론트엔드 4명, 백엔드 2명 (총 6명) 백엔드 깃헙주소 프론트엔드 깃헙주소 DB modeling AQueryTool PW
기업협업 TIL D-19
공지사항같은 경우에는 백오피스에서 작성 후 저장을 누르면 사용자단에서 보여진다. 백오피스의 글 작성 부분을 맡은 분이 Quill editor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에디터를 구현했는데, 작성할 때 볼드, 이탈릭, 언더라인이 잘 입혀지지만 사용자단에서는 적용이 안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