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삽질

[💊] 서버 저장소에서 build를 하며 깨닫게 된 yarn.lock 파일의 중요성과 package 버전 동기화 원리
최근 회사의 웹 애플리케이션(Next.js) 정식 릴리즈 배포를 하면서 아래와 같은 버그 이슈를 맞이하게 되었다.내가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는 안타깝게도 CI/CD 시스템이 없다. 그말인 즉슨, 프론트와 백엔드 개발자들이 각각 직접 수동으로 서버에 접근하여 g

[android] viewmodel에서 editText validation 처리하기
최근에 compose로만 코드를 짜다가, editText가 특별한 놈인걸 까먹고 있었습니다.EditText는 자체적으로 StateFul한 녀석이라, Viewmodel에서 상태를 관리하기가 어려운데요.compose에서는 비동기에 대한 이슈때문에 따로 상태효과를 관리하라는

Intellij Run/Debug Configurations: Depoly to Tomcat
Intellij IDE에서 톰캣을 이용해 Run 시 서버 콘솔에 Connected to server라는 로그와 \[Catalina-utility-2] 관련 로그 몇 줄 후에 추가적으로 로그가 뜨지 않고 브라우저로 접속 시 모든 엔트포인트가 404 오류를 뱉어내는 오류가
Spring Boot 2 | DB연동
데이터베이스사실 강의에서는 마리아DB를 사용 하라고 하였으나나는 그럴수가 없었다왜냐면 오라클을 써야 하는 상황이였기 때문에...마리아DB로 그냥 연습하고 좀 더 안 다음에 오라클로 해야 하나 이러쿵 저러쿵 고민도 정말 많이했다내가 고생했던 증상은 두가지 였다DB 드라이
삽질
tokio::select를 사용하면 여러 함수를 동시에 호출한 후, 그 중 먼저 반환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나머지 함수 호출은 cancel됨.와, 이건 써야한다.그래서 좀 더 알아보니, cancel-safe한 함수 목록이 있고, 이것들을 이용하면 tokio::sele

Next.js 삽질 getStaticPaths fallback
안녕하세요~ 고영이에요. 👋오늘은 next.js 개발중에 겪은 삽질을 적어보려고 해요.Next.js는 SSG, SSR, CSR을 모두 지원하는 정말 짱짱한 FE 프레임워크에요.✨SSG는 Static Site Generation 이라고 해서, 정적 페이지를 빌드타임때
Get메서드 폼 태그 전송
지금 하는 프로젝트에 검색 기능을 추가중이다.포스트 방식으로 올릴까 했는데 포스트는 사용자 정보같은걸 서버에 올리는거라고 생각해서 포스트는 맞지 않다고 생각했다.그래서 get으로 할랬더니 값들이 쿼리파라미터에 추가가 안되었다.뭐가 문제인가 하고 봤더니..값들이 들어있는
JPA 페이징
페이징 기능을 추가했는데 조회가 제대로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다.리포지토리에 시작, 끝 두개의 매개변수를 넘겼다.그래서 setFirstResult(시작) / setMaxResults(끝) 이렇게 넣었었다.이렇게 하니깐 페이지가 뒤로 갈수록 50, 100, 150,, 이렇

[삽질] 리액트 useEffect 삽질 (props, state, variable, useEffect)
오늘은 리액트로 삽질.. 한 기록을 간단하게 적어보려고 해요.리액트를 사용하면 아마 대부분 함수형 컴포넌트를 더 많이 사용하실텐데요. 함수형에 있는 여러가지 장점 중 하나는 useEffect가 아닐까 싶어요.useEffect의 depenency array를 활용하면 컴

[삽질] cannot serialize object of type 'com.android.build.gradle.internal.tasks.CheckManifest'
SHA- 1 키를 추출하기 위해 singing Report를 사용했는데 수많은 오류를 뱉어냈습니다Build 속도 향상을 위해 gradle에 박아놓은 코드가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녀석들 중에서도 org.gradle.unsafe.configuration-cache=tru
Errors를 Json으로 Serialize할 시 400 대신 500 HTTP 상태 코드가 반환되는 문제
백기선 님의 스프링 REST API 강의 실습 중 Spring 2.1.0에서 2.6.3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에서 일부 테스트 케이스 응답으로 400 HTTP 상태 코드가 반환되어야 하는 것이 500 Internal Server Error 코드로 반환되는 문제 새로이
WebMvcTest를 이용한 스프링부트 테스트에서 Consider defining a bean of type (...) in your configuration 오류
TL;DR @WebMvcTest 를 이용해 컨트롤러 단만 테스트하는 상황에서 @Service는 Bean으로 등록이 되지 않기 때문에 대신 @AutoConfigureMockMvc로 통합 테스트를 진행하거나 @MockBean을 이용해 직접 ApplicationContext

HttpMessageNotWritableException: Could not write JSON: Infinite recursion (StackOverflowError)] with root cause - json 순환 참조 오류
댓글기능을 만들고나서 착실히 브랜치에 풀리퀘스트도 걸고,팀원분들이 만들어놓은 게시판 기능들도 Pull해서 댓글기능을 마무리하였는데,혹시 내 로직이 팀원분코드에 안좋은 영향을끼칠까봐 로컬에서 몰래 테스트하려고 했었는데,Json 순환참조가 일어나서 이 상황을 해결하는방법을
리타겟팅 실수
IK릭을 할 때, 보통 리타깃루트를 골반에 가깝게 실행을 한다.(나만 그러는지는 잘 모르겠다)기본 마네킹의 경우에도 골반으로 리타깃 루트를 두는데해당 사진처럼 리타깃 루트가 골반으로 되어있는 경우가 있다.리타깃 루트를 골반에 가깝게 했지만 캐릭가 누워있어서 애니메이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