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벤트 위임

🗣 면접 대비 | 이벤트 버블링과 캡처링, 그리고 위임(feat. 말하면서 배워요)
면접 스터디에서 준비하는 내용으로 질문과 대답 위주의 글입니다. 저만의 언어로 바꿔서 기술한 부분이 있으니 아래 참조를 통해서 제대로된 개념을 보시길 추천드립니다.또한 내용에 오류나 오타가 있을 시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OM] DOM 이벤트
이벤트를 설정하는 것은 인라인 attribute 이벤트 핸들러, 속성 이벤트 핸들러, addEventListener() 메서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중에서 addEventListener() 사용이 권장된다.addEventListener()에서 세 번째 매개변
.png)
[DOM] 이벤트 위임(Event Delegation)
최근에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기능을 구현하던 도중에, 하위 요소들에 같은 이벤트 리스너를 바인딩해야 되는 일이 있었다. 이전에 리액트를 사용했을 때는 이 부분에 대한 큰 고민없이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요소에 직접 이벤트 리스너를 바인딩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다. 그
이벤트 버블링 vs 이벤트 캡쳐링 vs 이벤트 위임
이벤트 위임 자식 엘리먼트의 이벤트를 부모 엘리먼트에서 감지할 수 있으니, 이벤트를 하나하나 등록하는 것이 아닌 부모에게 이벤트를 위임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벤트 캡쳐링 이벤트 버블링

[FE/JavaScript] 이벤트 버블링과 캡쳐 그리고 이벤트 위임
📌 이벤트 버블링 - 하위 엘리먼트에 이벤트가 발생할 때, 그 엘리먼트부터 시작해서 상위요소까지 이벤트가 전달되는 방식을 말한다.

DEEP DIVE 두 장 요약 (이벤트 ⑵ , event)
이전 장 읽어보기 이벤트 객체의 공통 프로퍼티 앞서 말했듯이 이벤트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동적으로 생성됩니다. 이렇게 동적으로 생성된 이벤트 객체를 활용하기 위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이벤트 객체의 공통 프로퍼티를 제공합니다. | 공통 프로퍼티

[JavaScript] 이벤트 위임(event delegation)
인스타그램 클론 코딩 중 댓글 추가기능을 구현하고 추가로 댓글 삭제 및 좋아요를 구현하고 있었다.

(JS) 이벤트 위임(Event Delegation)
이벤트 위임을 요약해보면 하위요소에 각각 이벤트를 붙이지 않고 상위 요소에서 하위 요소의 이벤트들을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React에서 이벤트 위임을 통한 이벤트 리스너 최적화
결론만 말하자면, 이벤트 위임을 통해서 이벤트 리스너의 개수를 줄이려 하더라도 의미 없고, 성능 향상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