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비의 스프링

[토비의 스프링] DAO의 분리 / 확장
Spring은 Java 를 기반으로 한 기술로써, Java에서 가장 중요하게 가치를 두는 것은 바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언어라는 점이다. Java Enterprise 기술의 혼란 속에서 잃어버렸던 객체지향 기술의 진정한 가치를 회복시키고, 그로부터 객체지향 프

토비의 스프링 3.1 - 5장_서비스 추상화
각 레이어가 다른 레이어의 내부 구현을 몰라도 되도록 설계하는 방식을 배운다.🤔 사견 : 처음엔 기본 레벨이 BASIC인데, 책을 읽다보면 어느 순간 BRONZE라고 부르고 있다. 그럴 수도 있지...업그레이드는 (1)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며, 모든 유저를 대상으로 (

토비의 스프링 3.1 - 4장_예외
모든 예외는 적절하게 복구되거나, 작업을 중단하고 개발자에게 통보되어야 한다. 예외의 종류 Error '시스템'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용된다. 여기서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과 대척점에 서 있는 JVM 메모리, OS 레이어 등을 말한다. 에러는 애플리

토비의 스프링 3.1 - 3장_템플릿
예외 처리의 필요성 (리소스 반환의 실패) 현재 UserDao.deleteAll()의 모양은 이러하다. 이것을 close()를 체크하는 방식으로 바꿔보자. 이러한 방식의 문제점은, 모든 메소드마다 try/catch/finally 구문이 반복된다는 것. 리팩토링을

토비의 스프링 3.1 - 2장_테스트
내가 작성한 코드를 확신하기 위해서."테스트 없는 스프링은 의미가 없다"관심에 따라 분리하라. 쪼갤 수 있을만큼 쪼개라.DB를 사용하면 단위 테스트가 아니다 (X)DB의 상태를 테스트 코드가 관장하고 있다면 단위 테스트다 (O)== "테스트를 위해 DB를 특정 상태로

토비의 스프링 3.1 - 1장_오브젝트와 의존관계
DTO (Data Transfer Object) : 자바빈 스타일을 준수하는 것이 활용에 편리하다.🤔 사견 : DTO를 그냥 자바빈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것 같다."JSP 프로그래밍에는 DTO(Data Transfer Object)나 DAO(Data Access Obj

토비의 스프링 4장을 읽으며
토비의 스프링을 읽으며 나중에 또 찾아볼 것 같은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개념 위주로 ~ 😀) 4장은 '예외'에 관련 내용이다.😀

토비의 스프링 1장을 읽으며
1장은 '오브젝트와 의존관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스프링이 관심을 갖는 대상인 오브젝트의 설계와 구현, 동작원리에 더 집중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