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64

백준 단계별로 풀기 - 큐 C언어 풀이(18258, 2164, 11866, 1158)
큐에 대한 짧은 정리 >* 큐는 먼저 들어간 요소가 먼저 나오는(선입선출) 구조의 대표적인 자료구조입니다. 가장 먼저 들어간 부분을 front라고 하고 가장 늦게 들어간 부분을 rear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pop을 할 경우 front가 가르키고 있는 요소가 빠져나오게되고 push를 하면 rear에 새로운 요소가 들어가게 되는 것이죠. 여기서 저는 메모리를 지속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원형 큐를 구현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큐를 구현하는 아래 문제를 통해 하도록 하겠습니다. 18258번 - 큐2 > * 문제 해석 큐를

[백준] 2164
https://www.acmicpc.net/problem/2164 📔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제일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50
백준 [JAVA] :: 2164번 카드2
📚 문제 정의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제일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예제 입력 1
백준 2164 -swift(queue구조)
이번 문제는 굉장히 문제의 이해는 쉽다. N장의 카드가 있을때 1반카드가 가장 위, N번이 가장 아래로 가있는 스택구조인데 한번 진행될때마다 가장 위에 있는것을 버리고 그 밑에 있는 것을 가장 아래로 보내는 형태이다. 그렇게 마지막 카드 한장을 구하는 문제인데 이 문제를 읽자마자 큐 구조를 생각했다. 가장 위에 있는것을 빼서 가장아래로 놓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swift에서는 python과 달리 queue를 지원해주지 않는다. 왜지? 그래서 removeFirst()를 이용하여 앞에서부터 빼주고 append로 다시 뒤에 추가하는 형태로 짜려하였다. 하지만 이방법의 문제점은 removeFirst()를 해주게 되면 한칸씩 앞으로 땡겨지면서 결국 시간복잡도가 n이 되어버린다. 배열은 냅두고 배열의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바꿔보자! 이렇게 되면 deque를 한다면 그 가리키는 포인터를 뒤로 한칸씩 미루게 되면 배열을 땡겨오는 시간복잡도가 생기지 않는다. 결국 O(1)이

백준_2164번
2164번 카드 2 1~n 장의 카드가 있을 때 순서대로 한 장을 버리고 한 장은 뒤로 보내는 것을 반복하다가 마지막 한장이 남았을 때 출력하는 문제. deque 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해결 할 수 있는 문제 였다.

[SW사관학교 정글/15일차 TIL] 백준 2164 : 카드 2
카드 2 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제일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남게 되는 카드의 번호를 출력한다.

백준 - 카드2(2164)
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제일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출력 예제 입력 1 예제 출력 1 첫번째 시도 

[백준] 카드2 #2164
설명 자료구조 Queue를 사용해서 푸는 문제. 문제에서 요구하는대로만 풀면 풀리는 쉬운 문제. JS풀이와 C++풀이는 모두 동일하지만 JS는 이전에 큐 2문제에서 사용한 Queue 자료구조를 그대로 가져와 풀었다. Node.js 풀이 C++ 풀이
백준 2164 카드2 문제풀이 (JAVA)
문제 링크 문제 N장의 카드가 있다. 각각의 카드는 차례로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붙어 있으며, 1번 카드가 제일 위에, N번 카드가 제일 아래인 상태로 순서대로 카드가 놓여 있다. 이제 다음과 같은 동작을 카드가 한 장 남을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 우선,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바닥에 버린다. 그 다음, 제일 위에 있는 카드를 제일 아래에 있는 카드 밑으로 옮긴다. 예를 들어 N=4인 경우를 생각해 보자. 카드는 제일 위에서부터 1234 의 순서로 놓여있다. 1을 버리면 234가 남는다. 여기서 2를 제일 아래로 옮기면 342가 된다. 3을 버리면 42가 되고, 4를 밑으로 옮기면 24가 된다. 마지막으로 2를 버리고 나면, 남는 카드는 4가 된다. N이 주어졌을 때, 제일 마지막에 남게 되는 카드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1 ≤ N ≤ 5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