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7
OSI7 Layers data name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기능을 계층별로 나눈 개념적인 모델입니다. 각 계층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역할을 담당합니다. 아래는 OSI 모델의 각 계층과 해당 계층에서 데이터를 부르는 호칭입니다: 물리(Physical) 계층: 호칭: 비트(Bit) 기능: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 변환을 처리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데이터 링크(Data Link) 계층: 호칭: 프레임(Frame) 기능: 오류 감지 및 수정, 물리적인 매체와의 통신을 관리하여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네트워크(Network) 계층: 호칭: 패킷(Packet) 기능: 목적지까지의 경로 선택과 패킷 라우팅을 수행하여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공합니다. 전송(Transport) 계층: 호칭: 세그먼트(Segment) 또는 데이터(Da

[CS-네트워크]OSI7 계층
OSI7 계층이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표준 모델.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OSI7 계층이 왜 필요한가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 ✔ 1계층. 물리계층(Physical Layer) 물리적인 장비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 BIT단위. 전기적 신호(0 또는 1)로 변환하여 주고받는 기능 예시 : 통신 케이블, 허브, 리피터 등 ✔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DataLink Layer) 
OSI 7 Layer, TCP/IP 개요
OSI 7 Layer 과거 통신용 규약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았고 각 벤더에서 별도로 개발했기에 서로 호환되지 않는 시스템이나 어플리케이션이 불가능했습니다. 이를 하나의 규약으로 통합하려는 노력이 현재의 OSI 7계층으로 남아 있습니다. OSI 7 Layer PDU: Protocol Data Unit 네트워크 동작을 이해하고 개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므로 네트워크의 주요 레퍼런스 모델로 활용되고 있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프로토콜이 TCP/IP 프로토콜 스택 기반으로 되어 있습니다. 1~4계층: 데이터 플로 계층(D
01. 네트워크 기본개념
네트워킹: 장비들을 서로 대화가 가능하도록 묶어주는 것 정보의 공유, 자원의 공유를 위해서 인터넷(Internet):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묶었다 인터넷의 특징 하나의 프로토콜만 사용한다. (프로토콜은 대화의 규칙, 통신의 규칙).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바로 TCP/IP이다.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인터넷을 탐험한다. 인터넷에는 없는 정보가 없다. 인트라넷(IntraNet): 내부의 네트워크. 인터넷의 특징을 가진다. 사내에서 사내메일시스템이나 인사총무 등의 시스템에 사용한다. 인터넷과의 차이점 그 회사 사람 말고 다른 사람은 인터넷을 통해 접속이 불가능하다. 엑스트라넷(ExtraNet): 그 기업의 인트라넷을 그 기업의 사원 이외에도 협력 회사나 고객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 LAN과 WAN **LAN
[미완! 컴네] L4 - Transport Layer : 전송계층
Transport Layer 전송계층은 OSI 7계층 상, 4계층에 위치한 레이어이며,TCP/IP Protocol 표현 상에선 애플리케이션 바로 및에 위치한 Transport(TCP / UDP)를 담당한다. OSI 7 7L: Application Layer 6L: Presentation Layer 5L: Session Layer 4L: Transport Layer 3L: Network Layer 2L: DataLink Layer 1L: Physical Layer **TCP/IP Protocol 4. Application ( 7,6,5L ) 3. Transport (4L) 2. Internet (3L) 1. Network Interface (1L,2L)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8th edit에 따르면 OSI 7계층 상에서 1

[초보CS👩💻] OSI 7 Layer에 대해 알아보자(TCP/IP를 가미한)
이 글이 저와 비슷한 CS 초보자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 OSI 모델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 이란? 국제 표준화 기구(ISO, 나라마다 다른 산업, 통상 표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표준을 개발하고 보급한다)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I 7 계층이라고 한다. ( 출처 : 위키백과 ) 😯한마디로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모델이라는 것인데.. 잘 와닿지 않았다. (적어도 나는 그랬다) 왜 와닿지 않을까? '보통은 인터넷한다, 유튜브에 접속한다, 네이버에 검색한다'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그렇다. 결국 '인터넷 한다'는 말은 브라우저를 켜서 어떤 화면을 보는 것을 넘어, 다른 컴퓨터와 연결된다는 뜻이다. '화면 뒤에 컴퓨터 있어요..!'💻 잠깐

[네트워크] OSI 7 계층 개념 정리
✨ 네트워크를 공부하면서 꼭 나오는 OSI 7계층 개념을 정리해보자. OSI 7계층 >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은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에서 개발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이다. 계층을 지날 때 마다 헤더(Header)가 붙는데, 이것은 해당 계층의 기능과 관련된 제어 정보가 포함 되어 있다. 제어 정보들을 모두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 측에서는 계층을 지날 때마다 덧붙여서 추가되고, 수신 측에서는 계층을 지날 때마다 제거된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