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T
Restful API란?
며칠 전, 오랜만에 대학교 선배를 만났고 이런 대화가 오고 갔다. > "진아, Rest API가 뭐야?" "어... 저도 정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어쩌구 저쩌구)" 그러게... Restful API가 뭘까? 1년 넘게 많은 API를 접했지만 정작 'Rest
[핸드북] REST API
REST API > 두 컴퓨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대표 상태 전송)의 줄임말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아키텍처 중 하나이다. 기본 개념 웹 애플리
RESTful, HttpServletResponse
get 요청시 서블릿에서 제공하는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이용하면 스프링의 뷰 리졸버 없이 바로 응답으로 출력할 수 있다.검색결과를 뷰 페이지 없이 응답으로 바로 출력하는 RESTful 방식이다.아래 예제에서 응답유형은 JSON 형식으로 할것이다.주
[WEB]REST API
SOAP API :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XML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교환.많은 리소스와 대역폭 요구.엄격한 통신규약을 가지고있어 모든 메세지를 보내기 전 알려야함. 과거에 더 많이 사용되었으며 유연성이 떨어지는 API임.(기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

TCP, 크롬 시크릿 모드, REST API, VPN에 대하여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로, TCP/IP라는 명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RESTful API
RESTful API는 두 컴퓨터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REST)는 API 작동 방식에 대한 조건을 부과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입니다...
REST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서로 다른 프로그램간에 소통할 수 있게 도와주는 통신규약서버와 고객간의 통신규약 --> 서버에게 요청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쉽게 설명해서 서버와 브라우저의 관계라고 생각하면 편하다SOAP API클라이언

(번역) gRPC vs. REST: 실제 API 스타일 비교
이 글에서는 REST 아키텍처와 gRPC라는 상당히 새로운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만든 API를 살펴봅니다. 우리의 목표는 이러한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API를 구축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REST Framework: Express & Axios
client단에서는 request를 만들고 http를 타고 server로 전달server에서 프로세싱해서 나온 결과 response를 다시 client로 전달이를 프로세싱해주는 소프트웨어들이 클라이언트, 서버 사이드에 각각 있어야 한다!클라이언트 -> axios.js

[React] REST API, AXIOS로 받아온 Array 객체를 map함수 호출이 불가능할때
formdata가 정상적으로 잘 저장되는것은 확인했는데, div 안에서 객체를 꺼내 쓰려니까 에러가 발생하는 것 같다.아마 null이었던 값이 데이터값으로 바뀌기 전에 Promise 객체로 잠시 존재해서 그런 것 같다한시간동안 삽질한 것 치곤 아주 간단한 해결방법이었다

[React] REST API AXIOS Post response data 접근하여 useState하여 state 업데이트 하는 방법
20230504 onCreate 함수. 새로운 설문지를 onCreate로 보내면데이터베이스에 올리기 위해 axios로 서버와 통신한다.서버는 데이터베이스가 업데이트 되면 새로운 설문지의 id를 return 해주는데,나는 이 id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survey/{

REST & REST API
REST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기 앞서,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에 대한 개념과, REST, REST API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RESTful API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HTTP 메소드를 이용해 서버와 통신클라이언트와 서버가 HTTP 통신을 할 때 어떤 요청을 보내고 받느냐에 따라 메소드의 사용이 달라짐GET 읽기POST 쓰기PUT 수정DELETE 삭제REST(REpresentatinal State

[Network 스터디 6회차]
쿠키나 세션, 토큰이 필요한 이유HTTP는 기본적으로 상태가 없는(stateless)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이전 요청과 관련된 정보가 새로운 요청에 자동으로 전달되지 않기에, HTTP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상호작용시 이전 정보를 기억할 수 있게 해주

[글마디 프로젝트] Realtime Database를 활용한 글마디 CRUD 및 좋아요 기능 구현 회고
글마디 프로젝트의 주 기능 중 하나인 '글마디 추가(C)/로드(R)/수정(U)/삭제(D)' 기능을 Firebase Realtime Database를 활용하여 구현한 회고입니다.지난번 Firebase Auth를 사용한 이유와 비슷합니다. Firebase에서 DB 서비스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