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
[Mac, Node.js] Mac 에서 n 으로 node 버전이 바뀌지 않을 때
sudo n 으로 버전을 선택한다 n 으로 설치된 node 와, homebrew 로 설치된 node 두개가 설치되었을 때, node --version 및 which node 로 실행되는 노드가 어떤 노드인지, 버전이 어떤 버전인지 체크한다. homebrew 로 설치된 노드가 실행되는 문제로, unlink 하여 n 으로 버전을 제어하도록 한다. brew unlink node
Python문법기초3: 함수(function)
함수의 선언과 호출 > 함수의 선언 : 함수의 호출 : 실행 문제 두 개의 정수를 받아, 그 중 큰 수를 출력하는 내장함수를 구하라. 함수의 Return : 함수가 return 을 만나면 해당 값을 반환하고 함수를 종료한다. 만약 return 이 없다면, None을 자동으로 출력(반환) 한다. return 은 오직 하나의 객체만 반환한다. > 문제 두 개의 정수를 받아, 그 중 큰 수를 return값으로 반환하는 내장함수를 구하라 return (반환문) 작성하기 위해선 print(문장) 대신 return + 결과(변수)를 기재해야한다. > 문제 lista와 listb의 각각 합계을 받는 mylistmax 를 구해, list_a의 합계가 더 클 경우 그 값을 return 하라. 함수의 인수 > 위치인수 : 기본적으로 함수는 위치의 인수로 판단합니다. > >문제 반지름,높이를 이용하여

이스케이프 정리
나는 그저 "\" 에 대해서 알고 싶었을 뿐이었는데...😭 String.format() 이 이렇게 야한 문자인줄 몰랐다.. 이래서 구글링도 실력이라고 하는구나.. 오늘 페어과제를 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타입을 JSON형태로 변경하는 문제를 풀었다. 응~ 이정도면 괜찮아~ 그냥 제출하자! 했지만 그러면 안되는 거였다.(무한반성*😭); 내가 궁금했던 것은 >String.format("\" %s\"", data) 이 코드에서 "\" 를 왜 넣어주는지 궁금했다. 어차피 String.for

[HTML, CSS] Insert Text with Line Break (feat. XSS)
결론 dangerouslySetInnerHTML 또는 html-react-parser의 HtmlParser를 사용할 땐 XSS를 고려해야 한다. 상황이 따라주지 않을 땐, 위와 같은 방법보단 HTML 또는 CSS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다. 진행한 프로젝트에서 마주친 수많은 이슈 중에서, \n이 포함되어 있는 string을 element 안에 넣어야 할 때 마주친 이슈들을 정리한 것이다. > #### Element 안에 Text 넣기 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하고 browser에서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았다. > ### 결과 
[JAVA]'N'모양 출력하기
홀수를 입력했을 때 'N'모양으로 출력하기 2차배열 만들기 규칙 파악하기 1) 배열의 열이 모두 0] 이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배열의 길이와 같거나(-1해줘야함. 컴퓨터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 열과 행의 [index가 같다면 *로 표기한다. >
웹개발 종합반 05
파일질라 가비아 도메인 기록하기 버튼을 통해서 웹에서 입력하는 것을 서버쪽에 전달해주고, html 태그 밑에 달기 서버쪽에서 완료 버튼을 눌렀을 때 누가 완료 됬는지 찾아서 알려줘야 하므로 번호를 달아준다 -> 서버 쪽에서 같이 만들어준다 기록하기 create -> POST 요청 방식 url = /bucket , 요청방식 = POST 클라 ajax -> 서버flask: bucket 을 보내줌 서버 -> 클라 : 클라에서 서버로 보낸 것을 잘 받았다는 응답으로 메세지를 보냄 기록 완료! 서버에서 db쪽으로 3가지를 저장해줘야한다 bucket 메세지 num 번호 done 완료 했는지 않했는지 이미 저장해 있는 db에서 가져오는 것을 업데이트 해주는 것이기때문에 내가 총 저장해놓은 버켓에 +1 을 해준다 count 라는 변수로 구현 post 방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했고 보여주기 read -> GET 요청정보 클라 -> 서버
replace \n split comma

Java - Method printf
Method printf 출력 함수 코드 입력한 출력 형식 순서대로 값 입력 📄 포멧 %n : 줄바꿈 %d : 정수형 출력 %s : 문자열 출력 %f : 실수형 출력 %c : 문자 출력 %b : boolean 출력 %5d : 정수를 5칸에 오른쪽 정렬 출력 %~5d : 정수를 5칸에 왼쪽 정렬 출력 %0.3f : 실수를 소숫점 3자리까지 표현 %7.3f : 실수를 소숫점 포함 7칸에 표현하고 소숫점 3자리까지 표현
M1 Pro - n 설치하기
프로젝트를 하다보니 자꾸 node_module에서 오류가 발생한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node 버전을 너무 최신으로 설치 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노드 버전을 변경하려면...? n을 설치 해야한다. 1. n 설치하기 2. n 설치확인 그런데 막상 노드 버전을 변경하려고 보니 변경이 되지 않았다. 대충 느낌상 두개의 경로가 달라서 먼가 변경이 안되보였다. ln -sf installed경로 active경로로 symbolic link를 변경하자. 이제 경로가 맞다. 3. n으로 node 설치하기 3-1. node 최신버전 설치 3-2. node 안정버전 설치 3-3. node LTS(Long Term Support) 버전 설치 3-4. node 원하는 버전 설치 나의 경우에는 14.18.1 버전에서 에러 없이 node_module이 생성 되었다. > 휴우,,,, 편안... Fin.
알고리즘 시간복잡도 계산(점근 표기법, Big-O)
What is 시간복잡도? 좋은 알고리즘은 좋은 로직도 중요하지만 컴퓨터가 계산을 빨리 처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컴퓨터가 계산을 빨리 처리하기 위해서 컴퓨터 사양, 프로그램의 크기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우리가 중요하게 다룰 것은 시간복잡도(Time Complexity)라는 것이다. 이것은 다루는 데이터양에 따른 프로그램의 처리 속도이다. Big-O Notation Big-O Notation은 시간복잡도를 데이터양을 n이라 가정했을 때 걸리는 시간을 간단하게 수식으로 표현한 방법이다. e.g. n^3, n^2, n, 1

n 패키지 installed, active 경로가 달라 node 버전 변경이 안될 때
😅 문제 발견 node의 최신버전으로 변경하기 위해 n패키지를 사용하기로 했다. 아래 명령어로 n을 전역으로 설치하고 lts버전을 설치했다. 이후 아래와 같이 installed 경로와 active 경로의 node 버전이 출력되는데 두 경로가 다른점이 보인다. node의 lts 버전인 v16.13.0 버전이 잘 설치는 되었다. 하지만 활성화 된 node의 버전이 이전 버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노드의 버전이 바뀌지 않았다. 😁 해결 방법 installed된 노드 위치와 active된 노드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symbolic link를 변경해주어야한다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해 installed와 active의 symbolic l

Nodejs - n 모듈로 Node 버전 변경이 안될 때
이제 프로젝트주에 들어섰다...그래서 그런지 정신도 없고 시간도 없다... 매번 시간을 들여서라도 블로그를 써야겠다는 다짐을 해보지만 실행하는 것이 쉽지가 않다...🤦🏻♂️ 이럴때라도 문제가 있었을 때를 기록해두려고 한다. 첫 팀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것저것 설정하고 문서작업할게 너무 많다...후 그 중 팀원들간에 node버전과 npm 버전을 통일하기 위해 팀원중 제일 최신 버전을 갖고 있는 팀원의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로 했다. <a href="h

N진수 게임 (Programmers 17687)
🧑💻 N진수 게임 > - 튜브가 활동하는 코딩 동아리에서는 전통적으로 해오는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은 여러 사람이 둥글게 앉아서 숫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말하는 게임인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 - 숫자를 0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말한다. 첫 번째 사람은 0, 두 번째 사람은 1, … 열 번째 사람은 9를 말한다. > > - 10 이상의 숫자부터는 한 자리씩 끊어서 말한다. 즉 열한 번째 사람은 10의 첫 자리인 1, 열두 번째 사람은 둘째 자리인 0을 말한다. > - 이렇게 게임을 진행할 경우, 0, 1, 2, 3, 4, 5, 6, 7, 8, 9, 1, 0, 1, 1, 1, 2, 1, 3, 1, 4,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 - 한편 코딩 동아리 일원들은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답게 이진수로 이 게임을 진행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0,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