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데이터 개념, 시각화까지
공간 데이터 개념
- 지리 좌표 체계(GCS: Geographic Coordinate System)
- 절대적 위치 표현하는 좌표계
- 위도, 경도를 [도,분,초]로 표현
- 위도 : 동 -> 서
- 종류
- WGS84
- 지구 중심에 타원체의 중심을 위치 시킴
- 경도 위도를 갖고 있는 데이터 대부분
- Bessel
- 지구 중심이 아닌 다른 곳에 회전 타원체 위치시킴
- 동경측지계 -> 세계 표준측지계
- 평명 직각 좌표 체계(PCS: Planar Coordinate System)
- 3차원의 지리 좌표 체계를 2차원 지리 좌표 체계로 투영하여 표현하는 방법
- 투영법(우리나라는 Transverse mercator 사용)
- 필요 Parameter
- 데이텀(Datum) : 측정의 기준 되는 선,점. 측지계라고 함(타원체의 종류, 좌표체계의 기준점, 방향 정의)
- 투영법(Projection) : TM, UTM, UTM-K
- 중앙 경선(Central Meridian) / 중앙 위선(Latitude of Origin) : 평명 직각 좌표체계의 원점 의미 - ex: 중부원점:127도 00분 10.405초
- False Northing / False Easting : 지리 좌표계 값을 평면 직각 좌표계로 바꿔줄 때 위치에 따라 좌푯값에 일정한 값을 더하거나 빼줄때 쓰는 값(약간 offset 느낌)
- 단위(Unit) : 미터
- 선 증대율(Scale Factor) : 타원체 상의 거리와 지도상의 거리의 비율
- 종류 : TM(Transverse Mercator), UTM
- EPGS 코드 체계
- 좌표계에서 표준화된 코드(EPSG 코드 체계)
- 종류 : GCS, PCS
- 나라마다 사용하는 표준 좌표계가 다름. 이유는 나라마다 다른 모양의 국토를 갖고 있고, 그 모양의 국토를 최대한 왜곡없이 표현하기 위해서 그것에 적합한 좌표계 코드를 사용함(우리 나라는 위아래로 긴 모양의 국토를 갖고 있음. 따라서 횡방향을 잘 표현하는 좌표계 코드를 사용)
공간 데이터 유형
- 벡터 데이터 : 점, 선, 면으로 표현하는 공간 데이터 타입
- 이산 값의 경계가 있는 순차적인 점/정점 사용하여 저장
- 구성
- 점 : 좌표

- 선 : 2개 이상의 좌표와 선분으로 구성
- 복잡한 선도 표현 가능(교차하는 지류, 합류점, 도로, 다리와 같은 객체 또한 정보 표현 가능. 아래 노드 방식으로 저장)

- 면 : 모양, 둘레, 면적 등의 정보 가짐

- 데이터 포맷 : .shp, .shx, .dbf, GeoJON(.json / .geojson)
- 래스터 데이터(Raster Data) : 픽셀 단위로 색의 값을 갖는 데이터 형태(항공 영상, 위성 데이터 형태)
- 행, 열로 나눈 셀에 값을 저장한 데이터
- 표고(해발), 녹지, 강수량, 온도, 기압, 수압, 고도 같은 데이터도 표현 가능
- 포맷 : GeoTIFF, JPEG2000, ECW, Esri grid, MrS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