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th Star Metric(북극성 지표), 왜 중요하고 어떻게 좋은 지표를 찾을 수 있을까요?
조직에서 한 가지 방향성을 바라보고 작업을 실행하는게 핵심이다. 그 중 북극성 지표라는 것을 애플 디벨로퍼 아카데미에서 들었으며 이에 대해 인지는 하고 있지만 무엇이냐 라고 물었을 때 "그냥 한 가지 목표 아니야?" 라고 밖에 대답을 못하는 정도였다. 정말로 북극성 지표를 어떻게 도출하고 어떤 방식으로 확정을 하고 전문적인 프레임워크가 있는지 주의해야할 점은 무엇인지는 전혀 모르는 상태이다고 생각이 되었다. 그렇기에 이번 기회에 북극성 지표에 관해 읽고 공부해보려 이 글을 읽기 시작했다.
이 글은 북극성지표에 대해 간단한 설명으로 글을 시작한다. 우선 북극성 지표는 조직 전체가 한 가지 목표를 바라보며 갈 수 있는 지표라고 알 수 있다. 이 목표는 고객이 서비스를 통해 얻는 핵심 갗치와 연관이 되어야한다. 우선 대기업의 북극성 지표를 알아보겠다
페이스북 : 10일안에 7명과 친구를 맺는 사용자의 수
에어비엔비 : 1분기 안에 예약한 숙박의 개수
스포티파이 : 유료 사용자가 한 달 동안 음악을 듣는 총 시간
넷플릭스 : 유료 사용자가 한 달 동안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총 시간
그럼 이 북극성 지표는 어떠한 조건을 충족해야하는가에대해 말하고 있다.
1) 제품의 가치를 표현하는 지표
북극성 지표를 보았을 때 제품의 가치와 연관이 되어잇는 걸 바로 알아야한다. 페이스북 같은 경우도 가치는 "연결"이기 때문에 그에 맞게 초점이 맞춰져있다.
2) 성공의 선행 지표
미래를 반영하는 지표이기에 해당 지점까지 간다면 비즈니스 KPI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볼 수 있는 지표이면 된다.
3) 실행 가능한 지표
조직 내 모든 부서가 실행이 가능성 지표이어야한다. 북극성 지표에 맞게 각 부서는 움직이기 때문이다
4) 측정 가능한 지표
믹스패널과 같은 트래킹 툴로 액션을 통해 분석이 가능해야한다. 그렇기에 측정이 가능해야한다.
5) 모두가 이해가능한 지표
모든 조직원이 이해를 해야지만 그 기준을 가지고 각 조직원들이 액션을 할 수 있으며 그 성과를 투명하게 측정하여 데이터 바탕으로 고객 중심 제품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북극성 지표의 장점은
1) 조직 구성원 간의 얼라이먼트
조직이 한 방향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
2) 투명한 성과 측정
북극성 지표 토대로 성과를 측정한다면 회사 KPI를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게된다. 즉, 회사의 가치에 맞게 액션을 취할 수 있다
3) 고객 중심의 제품 개선
북극성지표는 고객 중심으로 설정되었기에 고객 중심으로 제품을 개선할 수 있다.
북극성 지표의 주의점은
1) 지표를 보고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액션이 떠올려야한다
2) 제품 성장에 선행하는 지표인지 알 수 있어야한다
3) 고객 가치를 반영해야한다
즉, 일 매출 100만원 달성! 은 해당되지 않는다
좋은 북극성 지표를 확인하려면
1) 비즈니스 성장에 필수적인것은 무엇일까?
2) 어떤 KPI와 지표가 우리 비즈니스 성장의 핵심 지표일까?
3) 그렇다면 위의 모든 내용을 담을 수 있는 지표는 무엇일까?
를 질문해보면 알 수 있다고 한다. 이를 확실히 대답하면 좋은 북극성 지표라고 한다.
북극성 지표는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야한다고 말을 한다. 초기 제품은 6~12개월, 안정적인 제품은 12~36개월로 평균적으로 잡는다. 이를 꾸준히 검증하고 방향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을 한다. 이는 다양한 분석툴 및 데이터 기반으로 설정해야한다.
한 조직을 align하기 위해서 한 가지 목표를 바라보는 것이 좋다. 이를 대표적인 툴로 북극성 지표를 사용하게 된다면 해결이 가능하다고 생각이 된다. 조직 내에는 정말 다양한 사람이 다양한 업무를 하고 있기에 한 방향성으로 움직이려면 이러한 툴이 있어야 한다고 느껴졌다. 하지만 이 목표를 잘 설정하는 것은 어렵다. 이는 끊임없이 고민해야하고 비즈니스 부서와 이야기해야하며 분석툴로 그에 맞는 인사이트를 내야한다. 본문에서는 초기 제품도 6~12개월이라고 언급하였는데, 필자가 보기에는 이도 너무 긴 것 같다. 급격하게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검토하면서 제품을 성장시켜야 한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너무 바뀌면 목표가 흔들리기에 그 중간지점을 잘 찾아야한다고 느껴졌다.
https://mixpanel.mfitlab.com/blog/2023-10-04-northstarmetric-01